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계新사업모색] 10년째 성장판 닫힌 재계, 신사업에 '사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4초

10대 주력품목, 10년째 제자리…업종 다변화 절실
삼성·LG화학·한화 등 주요 그룹, 新 사업 고심
"실패해도 투자하는 오너 결단 필요한 분야"


[재계新사업모색] 10년째 성장판 닫힌 재계, 신사업에 '사활' ▲산업계 제조업 산업 현장
AD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재계가 잇달아 사장단 회의를 열어 신사업에 방점을 찍고 내년 경영계획을 세우는 것은 지금의 경영환경이 매우 위태롭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최대 수출국이었던 중국은 이제 경쟁국이 됐고 글로벌 경기가 장기 침체의 늪에 빠지면서 수출길도 막혔다. 기존 주력사업만 잘 이끌고 가면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던 시대는 저물고 있다. '살아남기 위해 신규 사업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 대한민국 기업들의 공통된 고민이 된 셈이다.


우리 경제의 정체를 보여주는 지표는 곳곳에서 감지된다. 수출 주력군으로 꼽혀온 국내 제조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은 지난 15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코스피 상장 제조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2001년~2005년 평균 25.1%에서 2011년~2015년 평균 7.5%로 14년 사이 1/3로 줄었다. 영업이익률 역시 같은 기간 4%에서 3.9%로 하락하는 추세에 놓였다.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 경기는 훨씬 심각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매출액 기준 상위 600개 기업을 대상으로 매월 조사하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1년 동안 한 차례를 제외하곤 기준치 100을 넘지 못했다. 지수가 100 미만이면 향후 경기를 나쁘게 보는 기업이 좋게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의미다.

[재계新사업모색] 10년째 성장판 닫힌 재계, 신사업에 '사활'


중국의 추격도 매섭다. 국내 기업의 최대 수출국이었던 중국은 자국산 사용 비중을 늘리면서 사실상 수출길을 막았다. 반대로 통 큰 투자와 인수합병(M&A) 등으로 첨단 고부가가치 제품 분야의 기술력까지 빠른 속도로 추격하면서 국내 주력산업을 잠식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10년 간 우리 경제는 업종을 다변화하지 못했다. 10년 전 10대 수출 품목이었던 자동차ㆍ철강ㆍ정유산업 등은 현재도 여전히 주력 품목으로 꼽힌다. 오히려 이들이 한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4년 61.5%에서 2014년 73.6%로 증가했다. 문제는 10대 주력 품목들이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되레 줄고 있다는 점이다. 같은 기간 이들 품목이 세계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9%에서 36.8%로 정체됐다.


이런 환경에 위기감을 느낀 국내 기업들은 지난 2~3년여간 확장된 사업구조를 대대적으로 개편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사업부문을 쪼개고 수익이 나지 않는 사업은 과감히 팔았다. 인력도 줄였고 조직구조도 성과중심으로 바꿔갔다. 내실을 다지는데 몰두한 셈이다. 이를 마무리한 기업은 이제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하고 성과를 내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기존 주력사업의 경쟁력은 유지하면서도 새판짜기에 본격 나서는 것이다.


[재계新사업모색] 10년째 성장판 닫힌 재계, 신사업에 '사활'


삼성그룹은 이미 사업재편을 시작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경영 전면에 나서면서 주력 사업군도 바꿔가고 있다. 방산, 화학계열사는 과감히 팔아 사업에서 제외시켰고 의료부문, 사물인터넷 부문에서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에너지'도 기업의 주요 신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 지난해 말 체결한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한편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이 하나의 산업 화두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한화그룹이 꾸준히 투자한 태양광 산업, 현대차의 전기차 등 친환경차 개발, LG화학이 연구개발(R&D) 비용을 들여 투자하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사업 등도 이의 일환이다. 철강산업을 영위하는 포스코의 수장인 권오준 회장 역시 임직원들에게 "최근의 급격한 기술 발전은 신재생에너지원에 환경적 당위성뿐 아니라 경제적 타당성까지 부가하고 있다"며 에너지 사업 역량과 기술을 먼저 확보해줄 것을 당부했다.


다만 신사업이 발굴에 그치지 않고 실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CEO)의 끈질긴 투자의지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새로운 사업에 뛰어든다는 것은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기 때문이다. 투자 즉시 성과를 낼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업계 관계자는 "실패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CEO들이 힘을 실어주지 않는다면 신사업을 동력을 얻지 못하고 무너질 수 있다"며 "신사업이야말로 오너의 결정과 추진력이 가장 필요한 분야"라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