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급 이하에는 '의약품안심서비스(DUR)' 구축안돼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무좀약과 알레르기 약을 함께 복용하면 사망할 수도 있는 부작용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군 장병들이 이 같은 의약품 부작용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의약품안심서비스(DUR)가 제대로 구축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군 장병들의 안전한 약 복용을 위해 사단급 이하 군의료 기관에 DUR을 조속히 구축하고 군과 심평원 간의 의약품 처방정보 연계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전혜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방부로부터 제출 받은 '군병원과 사단급 이하 의무대 약품 처방현황'을 보면 최근 3년 동안(2014년~2016년 8월) 사단급 이하 의무대의 약품 처방 건수는 1032만 건으로 군병원 약품 처방 건수 547만 건의 약 2배에 달했다.
국군의무사령부가 2012년부터 DUR를 운용하고 있는데 예산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사유 등으로 19개(현재 14개) 군병원에만 DUR을 구축하고 있다. 사단급 의무대에는 구축하지 않아 4년이 지난 지금도 사단급 이하 의무대에서 진료받고 약을 복용하는 장병들이 어떤 약을 처방받고 복용하는지 전혀 관리가 되지 않아 의약품 부작용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것이다.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의약품 처방정보가 연계되지 않고 군병원끼리만 이뤄지고 있는 군 DUR은 그 폐쇄성으로 여러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 의원의 진단이다. 군병원에서 처방받은 의약품과 휴가를 나왔을 때 외부 의료기관에서 다른 진료를 받고 의약품을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2012년 군병원 DUR 도입 당시 국군의무사령부와 심평원은 3차례 회의를 통해 망전환 솔루션을 통해 군이 심평원으로 환자 처방정보를 전송키로 했는데 기술적 문제로 지연됐다. 외부망이 연결돼 있는 PC를 통해 매일 1회 정보를 전송하는 방안도 협의했었다. 결국 해결책을 못 찾고 그 이래 군병원 내부에서만 운용하게 됐다.
전혜숙 의원은 "묵묵히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국군장병들이 아플 때 안전하게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본적인 보건의료서비스가 구축돼야 진정한 선진강군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군은 DUR을 일선 의무부대까지 조속히 확대하고 심평원과 시스템 연동 방안을 강구해 약화사고를 미연에 차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