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메르스종식-中]韓 심리방역 실패…美 병원명부터 공개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0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메르스라는 질병이 밀접 접촉을 통해서 비말을 통한 감염이 되고있기 때문에 어떤 환자가 거기에 있었다고 해서 병원에 가시면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지나친 우려라고 생각한다"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가 유행한 지난 6월2일 메르스중앙대책회의에서 한 발언이다. 환자가 발생한 병원에 대한 비공개 방침을 밝히며 오히려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병원에 '안심하고 방문하라'는 것이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실패의 교훈 = 메르스 사태는 감염병 정보에 대한 투명한 공개가 가장 중요하다는 교훈을 줬다. 신종 감염병에 대한 불안와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병원을 몰라 전국민은 공포에 떨었다.


메르스 사태가 발생한 5월 말부터~6월말까지 모든 병원은 물론 공공장소와 주요 관광지를 기피했다. 3000여개의 학교가 휴교했고, 소비 위축과 관광객 감소 등 경제손실 규모는 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메르스 발생 초기 평택성모병원의 이름만 공개했어도 삼성서울병원의 제2의 유행은 막을수 있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하지만 당시 SNS를 통해 메르스 발생 지역과 의료기관 이름 등이 번져갔지만 정부는 ‘괴담’이라고 치부하며 적극적인 단속 방침으로 엄포를 놓기도 했다.


메르스 병원명 공개 불가 방침을 고수하던 보건당국은 지난 6월5일 진원지였던 평택성모병원을 공개했고, 이틀 후 관련 의료기관을 모두 오픈했다. 이후 국민들은 신종 감염병에 대한 불안에서 벗어났고, 빠르게 일상생활로 돌아갔다.


◆미국의 방역시스템은 '소통'과 '신뢰' = 지난해 에볼라 환자가 발생했던 미국에선 감염병이 발생하면 병원 이름부터 공개했다. 한국언론재단이 ‘신종 감염병과 한국사회’라는 주제로 진행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난달 방문한 미국에서 만난 감염병 전문가들은 한국의 메르스 유행 당시 2주간 병원이름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크게 당황했다.


미국 감염병 컨트롤타인은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데이브 데이글(Dave Daigle) 위기소통(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는 "메르스나 에볼라 같은 신종 감염병 유행에서 보건당국이 정보 공개를 투명하게 하지 않으면 정부의 방역대책은 국민들에게 신뢰를 잃게된다"며서 "또 걷잡을 수 없는 악성루머가 생겨나 국민들의 혼란을 부추긴다"고 지적했다.


CDC 법률고문을 지낸 진 매튜(Gene Mattews) 놀스캐롤라인 주립대학(UNC) 교수도 "정부의 가장 큰 잘못은 비밀이 있다고 언론이나 국민이 느끼게 하는 것"이라며 “환자의 인권에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병원 정보 공개 등은 필수적인 일”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에선 일부 감염병은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한다. 숨기는 것보다 환자가 격리돼 안전하다는 메시지를 주는 것이 위기대응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제니퍼 제임스 놀스캐롤라인 주립병원 홍보담당자는 "병원은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보건당국에 보고하고, 보건당국이 다른부서에 정보를 전달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면서 "다른 병원으로 전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부터 정보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은 CDC와 정부, 각 병원 등이 'NEDSS(National Electronic Disease Surveillance System'라는 방역시스템을 통해 감염병 정보를 공유한다. CDC가 주도하는 NEDSS는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집된 공중보건감시 정보가 보건당국에 전산으로 전달된다.


미국에선 또 감염병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 방법도 고민한다. 놀스캐롤라인주 보건부의 에블린 파우스트 수인성전염병과장은 "“메시지를 전달할 때 전달하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다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함께 모여 메시지 전달 방법을 논의한다”고 말했다.


메시지 수신대상인 고령층인지 젊은층인지에 따라 정보의 전달수단이 신문이나 종이, 라디오, 인터넷 등으로 나눠질 있다는 의미다.


파우스는 과장은 “젊은층은 모바일이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는 반면 노인들의 경우 신문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다양한 계층이 의사소통을 위한 논의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