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새해 서울시 예산 핵심은 '청년·일자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청년활동지원비·일자리대장정 관련 예산 1900억원 반영

새해 서울시 예산 핵심은 '청년·일자리'
AD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새해 서울시 예산안의 방점은 '청년ㆍ일자리'에 찍혀있다. '헬조선(Hell+朝鮮)', '수저계급론' 등 희망을 잃은 청년세대를 위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들이 활동할 수 있는 인적ㆍ물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시에 거주하는 20대(만19~29세) 인구 143만명 중 졸업유예자ㆍ초단기근로자ㆍ니트족(NEET族ㆍ근로의사가 없는 계층) 등 사회안전망 밖에 있는 청년은 50만2000여명(34.9%)에 달한다.


시는 이같은 '사회 밖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일자리 확대ㆍ기반구축 사업을 강화한다. 우선 시는 90억원의 예산을 편성, 정기소득이 없는 중위소득 60% 이하의 미취업 청년 3000명에게 최장 6개월간 월평균 50만원을 '청년활동지원비'로 지원한다.

또 시는 청년들이 직접 현장에서 경력을 쌓을 수 있는 '뉴딜일자리'도 오는 2020년까지 연(年) 5000개로 늘린다. 일자리대장정 과정에서 수립된 64개 일자리 기반구축사업에는 모두 1903억원을 반영했다. 특히 이중에는 시민들이 직접 제안한 50개 사업(466억원)이 포함돼 있다.


특히 예산안에는 박원순 시장이 직접 체험한 한 달 동안의 일자리대장정에서 발굴된 내용이 포함돼 있다. 장혁재 시 기획조정실장은 "일자리 관련 개별사업은 지난 3월 일자리대장정을 준비하는 시점부터 검토해왔던 사안"이라며 "박 시장을 비롯해 대장정 현장에서 타당성을 공감한 일부 사업에 대해 실무부서와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거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외에도 청년세대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적ㆍ물적 지원책도 마련했다. 은평구 소재 서울혁신파크 내에는 1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청년청'을 개청하고, 청년 복합공간인 '무중력지대'도 확대한다. 아울러 전통시장 내 유휴점포에 청년들을 유치하기 위한 '전통시장 청년상인 육성사업'에도 10억원을 투자한다.


박원순 시장은 "이번 정책은 시가 1년여 간 준비해 온 데다, 현장에서 절박감을 느끼는 기업인이나 사업자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라며 "현장에서 성숙된 아이디어"라고 말했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