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업체 규모 작을수록 기술인력 부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산업기술인력 155만4084명…부족인원 3만6383명
미충원인력 전년비 12.0%↑…인력 수급 불균형 심화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중소기업내 기술인력이 부족한 비율이 대기업에 비해 7배나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기술인력은 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전국 1만1155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 결과, 작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 부족인원은 3만6383명으로 부족률은 2.3%로 나타났다.


산업기술인력이란 고졸 이상 학력자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정보통신 업무관련 관리자, 기업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력을 의미한다.

전체 부족인원 가운데 95.3%인 3만4656명이 500인 미만 사업체에 집중됐으며, 부족률도 500인 미만 사업체는 3.0%, 500인 이상 사업체는 0.4%로 사업체 규모가 작아질수록 부족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전체 부족률은 전년대비 0.1%포인트 하락하면서 2011년 3.4%, 2012년 2.6%, 2013년 2.4%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업종별로 화학 산업 부족률이 3.6%로 전년대비 0.3%포인트 하락에도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12대 주력산업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부족인원의 54.7%를 차지했다.


전체 산업기술인력은 155만4084명으로 전년대비 3.0% 증가했다.


이 가운데 104만1505명(67.0%)이 전자, 기계, 소프트웨어 등 12대 주력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전체 산업기술인력의 48.1%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여성 산업기술인력은 20만3794명으로 전년대비 5.5% 늘으며, 2011년 10.0% 이후 2012년 11.9%, 2013년 12.8% 등 상승 추세다. 다만 연령별로 29세 이하는 21.7%, 30대는 13.3%, 40대는 10.7%, 50세 이상는 8.4%로 연령이 많을수록 전체 비중은 하락해 여성 경력자의 복귀율은 저조했다.


아울러 산업기술인력 구인인원은 전년대비 2.8% 증가한 14만6594명이며, 이 가운데 채용인원은 전년대비 2.3% 증가한 14만2095명이었다.


같은 기간 퇴사 산업기술인력 13만9200명(4.6%) 가운데 1년 이내에 퇴사한 인원은 5만8603명으로 조기퇴사율이 41.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0인 이상 사업체 조기퇴사율 25.3%지만 500인 미만 사업체 조기퇴사율은 44.0%로 중소기업의 신입사원 조기퇴사율이 높게 조사됐다.


또 내년 채용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는 1405개사이며, 아직 채용여부나 규모를 결정하지 못했거나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업체는 8617개사로 조사됐다.


산업부는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산업분야별, 규모별 인력수급 문제 해소를 위해 부족인력 원인조사 등 정성적 조사를 병행해 향후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