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 중시' 김무성, 연천 포격도발 현장 찾지 않은 까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방공호 생활 주민에게 오히려 불편 가중 우려 제기..김 대표 방문 계획 접어

22일 오후 여야 '2+2회동' 이어 최고위원회의 주재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현장에 답이 있다'며 현장행보를 중시하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북한이 포격도발을 한 경기도 연천 현장은 찾지 않아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김 대표는 포격도발 다음날인 21일 오전 긴급 주요당직자회의를 주재한데 이어 오후에는 서울 용산 합동참모본부를 방문해 현황 보고를 받았을 뿐, 포탄이 떨어진 연천지역은 방문하지 않았다.

특히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이날 오후 해당지역을 방문해 주민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지면서 김 대표의 행보는 더욱 관심을 받았다.


새누리당에 따르면 김 대표 역시 이날 포탄이 떨어진 연천 중면지역을 찾을 계획을 세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가 방문을 위해 해당 지역구 의원인 김영우 새누리당 수석대변인에게 의사를 타진한 것이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이 방공호에 피신해 있는 상황에서 정치인의 방문이 오히려 불편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판단이 나오면서 이내 뜻을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연천 중면에는 문 대표를 비롯해 남경필 경기도지사,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 경기도의회 의원들이 잇달아 방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는 합참본부를 찾은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연천을 비롯한 접경지역 주민들께서 대피소에서 밤을 새웠고 오늘도 그래야 할 것 같다. 불편함과 희생이 크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주민들의) 방공호 생활도 쉽지 않은데 취재진과 방문자들이 많아 분위기가 어수선하다"며 "김 대표에게 그런 상황을 잘 전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대신 북한이 최후통첩시한으로 제시한 22일 오후 5시부터 최고위원회의를 갖는 등 비상대기에 돌입할 계획이다. 또 이보다 앞선 같은 날 오후 3시께는 여야 대표, 원내대표가 참석하는 '2+2회동'을 갖고 여야간 초당적 대응을 마련하기로 했다.


한편 북한의 포격도발 이후 대피소 생활을 한 연천 중면 지역 주민들은 21일 오후 6시를 기해 귀가조치됐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