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실감현장]"중국보다 미국"이라 말한 '오버' 무대

시계아이콘00분 5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앞으로 중국을 방문하면 뭐라고 할지 걱정된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워싱턴 특파원들에게 "우리에겐 역시 중국보다 미국"이라고 말하자 정가에서 흘러나오는 우려의 목소리다. 김 대표는 6·25 참전용사들과의 만찬 자리에서 넙죽 큰절을 올리기도 했다. 정치행보에서 이벤트를 빼놓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이건 아니다 싶다.

김 대표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로 방미 일정이 연기된 박근혜 대통령의 몫을 대신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게 사실이다. 백악관에서도 차기 유력 대권주자이자 집권여당의 대표인 김 대표의 행보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을 것이다. 이런 기대와 달리 그의 언행에서 무게감이나 신중함은 부족해 보인다.


분단국가로서 미·중·일·러와의 경제와 안보국방 외교에서 정세판단의 중요성은 더 강조할 필요가 없다. 등거리 외교가 한국 외교사를 좌우했던 주된 배경이다. 미국 참전용사에게 개인적으로 큰 절을 한다고 해도 무리는 아니다. 김 대표에게는 외교관계에서 중국보다 미국이 중요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행보가 한국의 다자간 외교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 지 한 번 더 생각해봤어야 했다.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부장관의 표현대로 국제정치에서 때때로 옛 친구에게 손을 내미는 것이 새로운 친구를 만드는 것 못지않게 가치 있을 수 있다. 또 "새 친구를 사귀되 옛 친구를 놓치지 마라. 새 친구는 은이고 옛 친구는 금이다"라는 말도 맞다. 그러나 옛 친구도, 새 친구도 모두 가치 있고 그들에게 내가 진정한 친구라는 믿음을 줘야 한다.


김대표는 28일(현지시각) 존 케리 국무장관과의 면담도 불발돼 좋은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하지만 향후 반기문 UN사무총장과의 면담 등 사흘간의 일정이 남아있다. 이벤트 정치보다는 대한민국 여당 대표로서의 무게 있는 외교성과를 기대해본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