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초동여담]하버드대 교수의 발 건강법

시계아이콘01분 07초 소요

[초동여담]하버드대 교수의 발 건강법 백우진 디지털뉴스룸 선임기자
AD

요즘 거리를 걷다 보면 발에 깁스를 한 사람들이 심심찮게 눈에 띈다.


계단을 내려오다가 발이 접질려 발뼈가 부러진 경우가 많다. 최근 다친 한 환자는 "간편한 신발을 신고 있었는데 신발이 발을 보호해 주지 않아 발뼈 골절까지 간 것 같다"고 들려줬다. 그가 등산화를 신고 있었다면 발을 다치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발을 잘못 디뎌 생기는 부상은 신발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까. 표면적으로는 맞는 얘기이지만 원인(遠因)으로 들어가면 그렇지 않다. '얄팍한 신발'이 아니라 '튼실한 신발'이 신발을 망친다. 발을 잘 보호하는 신발에 의존해 지내다 보면 발이 약해지고, 약해진 발은 그리 크지 않은 충격에도 다친다.


나는 제자이자 전파자일 뿐이다. 신발의 '부작용'을 주장한 학자들이 있다. 미국 하버드대학의 인류진화 생물학자 대니얼 리버만 교수가 그중 한 명이다.

리버만 교수는 발이 제 모양을 잃고 틀어지거나 탈이 나는 주요 원인이 신발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평발과 족저근막염이 모두 발바닥활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


아치라고도 불리는 불바닥활은 걷고 뛸 때 몸무게를 분산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신발에 지나치게 의존하다 보면 발의 인대와 근육이 약해져서 아치를 지탱하지 못한다. 그래서 평발이 된다.


리버만 교수에 따르면 족저근막염도 신발 탓이 크다. 족저근막은 발 뒤꿈치에서 발가락 쪽으로 뻗어 있는 힘줄 같은 조직이다. 족저근막은 발 인대ㆍ근육과 함께 아치를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족저근막에 무리를 주는 것도 신발이다. 바닥 가운데를 볼록하게 해 발바닥활의 곡면을 받쳐 주는 신발이 많다. 이 볼록한 부분은 '아치 서포트'라고 불린다. 아치 서포트가 있는 신발을 신고 걷고 지내다 보면 아치를 잡아 주는 인대와 근육이 약해진다. 이런 상태에서 발을 많이 움직이는 운동을 무리하게 하면 인대와 근육이 할 몫 중 상당 부분을 족저근막이 떠안게 된다. 설계된 것보다 더 부하가 가해진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긴다. 이게 족저근막염이다.


또 신발로 과보호해 약해진 발로 바닥을 잘못 짚어 체중이 실리면서 갑작스러운 충격을 받으면 발 뼈가 부러지게 된다.


리버만 교수는 "신발을 완전히 벗어던지라는 말은 아니다"고 말한다. "그러나 가끔 맨발로 지내면서 발을 설계된 대로 쓰는 게 건강에 좋다"며 "특히 어린이는 맨발로 뛰어놀도록 하자"고 제안한다.






백우진 디지털뉴스룸 선임기자 cobalt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