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도입15년 지났지만 헤매는 '수행평가', 문제점 뭐기에?

시계아이콘01분 0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수행평가제도가 도입된지 15년이 지났지만 학교현장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교사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자유학기제 제도, 자율학교 등 교내 수행평가체계를 구축한 후 확산되도록 해야한다는 주장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30일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현장 착근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초등학교 수행평가도구를 분석한 결과, 3분의 1은 수행요소를 포함하지 않아 명목상 수행평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 58%는 사전에 결정된 정답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당초 수행평가의 의도와 다르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채점방식에서도 75%는 정답을 비교하거나 답안의 숫자를 세는 등 비수행적 요소를 활용했다.


보고서는 "초등학교에서 수집한 수행평가 도구의 55%가 낮은 개방성을 갖고 있다"며 "학생이 단순히 정답을 찾기위해 수업시간에 배운것을 기억해 재생산할 뿐 아이디어, 해석으로 자유롭게 생각할 여유나 기회를 주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이는 수행평가 정책을 담당하는 정책기관이 수행평가의 본질과 장단점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제대로 된 평가도구모델이 구축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 5년 만에 정부가 바뀔 때마다 제도가 바뀌며 일관성이 훼손됨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부가 변화의 방향을 제시하고 학교현장에서 이에 대한 준비가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즉, 대학입시제도 및 국가교육과정, 교사들의 수업과 평가 방식의 변화에 대한 정책들이 하나의 통합된 틀 아래서 일관성 있게 제시되지 못한 셈이다.


보고서는 수행평가 확산을 위해 현장의 변화를 지원하는 상향식 점진적 접근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교사들의 자발적인 변화를 지원하고 교사들의 역량을 강화해 주며 학교 변화의 점진적 확산을 지원하는 현장 중심의 상향식(bottom-up) 접근"이라며 ▲현장지원체계구축, ▲교사 역량강화, ▲수행평가의 학교확산 지원 체제 구축,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수행평가 강화 등을 제언했다.


보고서는 "자유학기제 학교, 자율학교, 혁신학교 등부터 교내 수행평가체제를 구축한 후 다른 학교로 확산되도록 하여야 한다"며 "실질적인 변화 없이 불필요한 설비 확충이나 학교 홍보 등으로 정부 지원금을 낭비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성공사례 확산을 강조했다.


이어 "대학입시제도의 변화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지만, 학생들의 대학진학에 바로 영향을 주지 않는 저부담 평가(low-stake exam)이면서도 교사들과 교장들에게는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학업성취도평가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