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발전설비용량 南이 北보다 12배 많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남한과 북한의 전력 생산 능력이 간극을 넓히고 있다. 최근 10년새 7배에 달했던 격차는 최근 12배까지 벌어졌다.


8일 통계청과 발전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기준 남한의 발전설비 총 용량은8만6969메가와트(MW)를 기록, 7243MW인 북한의 12배 수준으로 집계됐다.

10년 전인 2003년 남한과 북한의 전력설비 총 용량은 각각 5만6053MW와 7772MW로 7배 차이가 났었다.


지난 10년 간 남한의 발전설비 용량은 55%(3만9016MW) 증가했지만 북한은 오히려 역성장(-529MW)하면서 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졌다.

북한의 전력생산능력은 첫 조사 시점인 1965년에만 해도 2385MW로, 남한의 전력생산 능력 769MW보다 3배는 많았으며, 이러한 우위는 1970년대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남한이 산업화를 추진하면서 상황은 역전됐으며, 꾸준히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지난 50년 간 남한은 113배 성장한 반면 북한은 3배 늘어나는데 그쳤다.


특히 규모 뿐만 아니라 발전소 구성의 질적 측면에서도 남북한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남한은 원자력과 화력, 수력발전의 비율이 24%, 65%, 7%로 운용되고 있지만, 북한은 수력과 화력발전만으로 모든 전력생산을 감당하고 있다.


남한은 원자력발전소가 2만716MW 규모에 달하지만 북한은 건설 기술의 부족으로현재 가동 중인 원자력 발전소가 한 기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력발전소의 경우도 남한은 석탄과 천연가스, 유류 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하지만 북한은 석탄화력발전의 비중이 절대적인 것으로 전해진다.


반면 북한은 연료비가 들지 않는 수력발전에 대한 의존도를 꾸준히 높이고 있다. 전체 발전설비에서 수력발전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북한이 59%로 남한의 7%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다만 가뭄 등 물 부족 사태가 빈번한 북한 사정상 수력발전에 대한 의존도를 높일수록 전력 공급의 안정성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커진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남한의 경우 1970∼80년대 산업화 시대를 거치면서 전력 수요가 대폭 늘었고 성숙기에 접어든 1990년대 이후에도 정부 차원의 꾸준한 투자로 전력산업 기술개발과 인프라 확충이 동시에 이뤄졌다"면서 "반면 북한은 전력산업과경제성장이 모두 제자리 걸음하면서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