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옛 전남도청 앞에서 울려 퍼진 ‘임을 위한 행진곡’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아시아경제 박선강]


옛 전남도청 앞에서 울려 퍼진 ‘임을 위한 행진곡’ 5·18 유가족들은 18일 국가보훈처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거부해 기념식 불참을 선언하고 금남로 옛 전남도청 앞 민주평화광장에서 별도의 기념식을 개최했다. 사진은 5·18 유가족들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AD

18일 오전 5·18 광주민주화운동 제35주년 기념식이 개최됐다.


그러나 여느 해와 달리 올해는 국립 5·18 민주묘지와 옛 전남도청 앞 민주평화광장에서 둘로 쪼개져 기념식이 개최됐다.

5·18 유가족들은 국가보훈처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거부해 기념식 불참을 선언하고 금남로 옛 전남도청 앞 민주평화광장에서 별도의 기념식을 개최했기 때문이다.


이날 옛 전남도청 앞 기념식에는 5·18 유가족과 시민단체, 세월호 유가족,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주승용 의원과 무소속 천정배 의원, 지역 정치인, 일반 시민 등 600여명이 참석했다.


5·18 기념행사위원회는 문예단의 식전공연과 국민의례, 헌화 및 분향, 신대운 전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상임대표의 5·18 민중항쟁 경과보고, 김정길 행사위원장의 기념사, 김후식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회장 기념사, 광주광역시 남구의 오카리나 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진행했다.


김정길 5·18 기념행사위원회 상임위원장은 “정부에 의해 5·18민중항쟁정신이 누더기처럼 갈가리 찢기고 민주와 인권평화에 대한 국민들의 염원이 철저히 외면 당하는 상황을 방관할 수 없었다”며 “5월 영령들이 잠들어 있는 5·18민주묘지에서 정부가 주관하는 망월동 국가 기념식을 불참하고 이 자리에 모이게 됐다”고 공식 기념식 불참 이유를 설명했다.


부슬부슬 내리는 비는 기념식이 끝나도 멈출 줄 모르고 계속됐다.


기념곡 지정과 제창이 무산된 ‘임을 위한 행진곡’은 기념식 중간에 울려 퍼졌으며 제창 때에는 기념식에 참석한 모두가 한마음 한 뜻으로 부르기도 했다.


기념식이 끝난 뒤 주먹밥을 나눠 먹는 시간과 함께 ‘민주의 종’ 타종식에는 윤장현 시장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참석했다.




박선강 기자 skpark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