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명인사 어록 중 ‘번짓수 잘못 적힌’ 5가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아시아경제 백우진 기자] 말은 할수록 늘게 마련이다. 각계 유명인사는 인터뷰와 강연, 행사에서 그만이 할 수 있는 발언을 해주길 원하는 사람들을 만난다. 그러다보면 예리한 질문에 적절한 답을 찾아 내놓기도 하고 우문에 현답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유명인사들은 이름과 함께 ‘어록’을 남기게 되는 게 아닐까.


평범한 사람은 멋진 생각을 간결하게 표현하더라도 이를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기 어렵다. 평범한 사람이 자신이 지은 문구를 퍼뜨리는 방법으로 “아무개 유명인사가 이 말을 했다”고 주장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유명인사에게 그가 실제로 발언하지 않은 경구가 많이 결부되는 이유로 짐작된다.

유명인사의 발언으로 잘못 알려진 문구를 다섯 가지 소개한다.


1. ‘내가 경외하는 것은 두 가지다. 하나는 별이 가득한 하늘이고, 다른 하나는 내 안에 있는 도덕적 우주다.’

아인슈타인의 이름에 자주 따라붙는 문구다. 실제로는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1788년 ‘실천이성비판’에서 한 말이다.


유명인사 어록 중 ‘번짓수 잘못 적힌’ 5가지 아인슈타인
AD


2.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나는 오늘 한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국내에서 네덜란드 철학자 스피노자가 남긴 말로 전해지는 경구다. 해외에서는 16세기 독일 종교개혁가 마틴 루터의 발언이라고 알려졌다. 그러나 이 또한 잘못된 정보다. 이 발언은 실제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희망과 절망이 공존하던 어려운 시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3. ‘건물은 높아졌지만 인격은 더 작아졌고(중략) 고속도로는 넓어졌지만 시야는 더 좁아졌고, 소비는 많아졌지만 더 가난해지고(하략)’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발언으로 공유되곤 하는 문구다. 반 총장은 2013년에 이미 이런 글을 쓴 적이 없다고 밝혔는데도 말이다. 원작자는 미국의 밥 무어헤드(Bob Moorehead)라는 목사다. 글의 제목은 ‘우리 시대의 역설’(The Paradox of our Age)로 연설문집 ‘적절한 말들’(Words Aptly Spoken)에 게재됐다.


4. ‘일찍이 아시아의 황금시기에 빛나던 등불의 하나인 코리아, 그 등불 다시 한 번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마음에 두려움이 없고 머리는 높이 쳐들린 곳 (중략) 나의 마음의 조국 코리아여 깨어나소서.’


인도 시인 타고르는 ‘마음에 두려움이 없고 머리는 높이 쳐들린 곳 (중략) 나의 마음의 조국 코리아여 깨어나소서’라는 구절은 쓰지 않았다. 이 대목은 그의 시집 ‘기탄잘리’의 구절에 코리아를 바꿔넣어 추가한 것이다.


5.‘삶이란/ 우산을 펼쳤다 접었다 하는 일이요/ 죽음이란/우산이 더 이상 펼쳐지지 않는 일이다/ 성공이란/ 우산을 많이 소유하는 일이요/ 행복이란/ 우산을 많이 빌려주는 일이고/ 불행이란/ 아무도 우산을 빌려주지 않는 일이다.’


김수환 추기경의 ‘우산’이라는 시라고 전해진 작품이다. 그러나 이 시는 양광모 시인의 시집 ‘나는 왜 수평으로 떨어지는가’에 실린 작품이다.


(자료)
임철순, 좋은 글을 퍼뜨리기 전에, 자유칼럼그룹, 2015.1.6




백우진 기자 cobalt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