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년까지 30개 대학에 거점고용센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학년부터 맞춤형 지도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정부가 청년 구직난 해소를 위해 내년까지 전국 30개 대학을 '청년고용 거점대학'으로 삼기로 했다. 각 지자체와 연계해 대학 내 거점고용센터를 설치하고, 대학교 1학년부터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맞춤형 진로지도를 지원할 방침이다. 우선 올해는 시범사업으로 3개 대학을 선정,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13일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의 '거점대학 청년고용센터(가칭)' 사업을 위해 이르면 이달 중 사업공고를 낼 방침이다.

이는 최근 들어 사실상 실업상태인 청년층 잠재구직자의 44%가 대졸 이상 고학력자로 파악되는 등 고학력 청년층의 실업현상이 심각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인문계열 대졸자의 경우 '인문계 졸업생 중 90%가 논다'는 의미의 '인구론'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취업난을 겪고 있어, 대학 취업지원을 체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정부는 올해 3곳의 대학을 청년고용 거점대학으로 삼고 내년에는 30곳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2년제 전문대와 4년제 일반대 모두 지자체와 매칭해 신청이 가능하다. 이미 대학청년고용센터가 설치돼있는 52개 대학도 참여할 수 있다. 정부는 현재 대학청년고용센터에 지원하는 예산의 최대 10배 가량을 거점대학에 투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부 관계자는 "취업률이 이미 매우 높거나 재정이 열악해 대학구조조정 대상인 곳은 제외된다"며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지역거점대학 중심으로 지자체와 매칭을 통해 지원규모를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거점대학 청년고용센터는 최근 '능력 중심사회' 트렌드에 따라 추진 중인 NCS 기반 채용 등이 오히려 청년층의 혼선을 빚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대학 1학년부터 원하는 분야의 취업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공부를 해야할 지 맞춤형 지도를 실시하기로 했다. 전문 인력을 투입하는 것은 물론, 지역에 소재한 기업과의 연계취업도 강화한다.


국내외 대학의 컨설팅을 진행해온 액센츄어코리아 관계자는 "대부분 대학이 자체적으로 진로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취업 전문가는 전무하고, 활동도 채용공고 일정을 알리는 수준"이라며 "대학취업지원센터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대학 구조조정 1순위가 취업지원 지도인력이 될 정도로 취업지원에 대한 학교들의 인식이 낮은 편"이라며 "교수들부터 학생들의 취업을 고민하며 학문을 가르쳐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취업정보업체 커리어가 올해 예비 신입생 32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학 생활에서 가장 걱정되는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취업 준비'를 꼽은 학생이 절반을 차지했다. 취업 준비를 시작하기에 적당한 시기로는 응답자의 41.5%가 1학년이라고 답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