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물인터넷(IoT) 정보보안 특허출원 ‘러시’

시계아이콘01분 1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특허청 집계, 2011년 1건→2014년 45건…올 들어선 1월에만 9건 출원, 디바이스·네트워크 및 플랫폼·서비스 등 출원기술 다양하고 중소기업 위주, 상호인증 및 접근제어기술 68%로 으뜸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사물인터넷(IoT) 정보보안분야 특허출원이 크게 늘고 있다.


9일 특허청에 따르면 생활 곳곳으로 파고드는 사물인터넷의 정보보안이 핵심쟁점으로 떠오르면서 관련 특허출원이 러시를 이루는 흐름이다.

2011년 1건이었던 사물인터넷 정보보안 특허출원이 지난해엔 45건으로 늘었고 올 들어선 1월에만 9건이 출원돼 앞으론 더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는 네트워크로 이어진 사물의 개수가 늘수록 해커공격대상은 물론 공격 루트가 여러 가지로 많아지고 있어서다. 게다가 피해가 기존 사이버세계의 정보유출, 금전피해를 넘어 인간의 목숨까지 위협할 만큼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안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난해 11월엔 인터넷과 이어진 가정용 CCTV가 보안에 뚫려 러시아의 특정사이트에서 생중계돼 개인생활이 드러난 적 있다.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 공격에 냉장고, 세탁기 등의 스마트가전제품이 좀비PC로 이용되기도 했다. 글로벌해킹 콘퍼런스인 ‘블랙햇(Blackhat) 2013’에선 차량을 해킹, 가속페달 및 운전대를 마음대로 조작하는 등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출원된 정보보안기술은 ▲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서비스 등으로 나뉜다. 이 중 플랫폼·서비스에서의 상호인증 및 접근제어기술이 68%로 가장 많고 트래픽을 감시하고 악성코드를 탐지 및 막는 네트워크보안기술(31%)이 뒤를 잇는다. 센싱된 정보를 암호화하는 디바이스정보보안기술은 1%로 출원비율이 가장 낮았다.


이는 PC환경에서 쓰이는 암호화 알고리즘 연산이 복잡하고 무거워 CPU 성능·메모리 크기 및 소비전력 등의 제약을 받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선 작동이 곤란해 국내외적으로 관련연구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어서다.


출원인별 출원흐름은 중소기업이 35%로 사물인터넷 정보보안 특허출원을 이끌고 있고 대학교, 연구소가 각 22%, 20%를 차지해 뒤를 잇는 반면 대기업은 11%에 그쳤다.


특허청은 중소기업이 국내 사물인터넷 정보보호기업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건 관련출원이 많고 분산·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이 제조기술 및 통신인프라를 잘 갖춘 대기업과 협력하기 좋은 모델로 인식돼 관심이 높은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송대종 특허청 통신네트워크심사팀장은 “사물인터넷시장이란 새 경제공간을 만들기 위해선 보안문제부터 풀려야할 과제”라며 “보안의 최일선에 있는 디바이스 단은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시발점으로 기존 PC보안과 달리 미개척분야여서 과감한 투자·연구로 원천특허를 선점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국제전략연구소(CSIS)는 사물인터넷 해킹에 따른 한 경제적 손실을 연간 약 4450억달러로 추정되며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물인터넷(IoT)이란?
사물을 네트워크로 이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끼리 소통하는 지능형인프라이다.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Gartner)는 2020년엔 260억개의 사물이 이어져 약 1조9000억 달러에 이르는 시장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