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완구 총리후보 청문회 정회…녹취록 공개 놓고 여야 이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10일 열린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녹취록 공개 여부를 놓고 여야가 이견을 보인 끝에 정회됐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 후보자의 언론의식을 검증하기 위해 녹취록을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반면, 새누리당은 녹취록이 부적절한 과정으로 만들어져 유통된 만큼 공개불가 입장을 고수했다.


여야는 이날 오후 인사청문회가 재개하자마자 이 후보자 녹취록 공개를 놓고 맞섰다. 진성준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청문회에서 "인사청문특위는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을 검증하는 자리이고 녹취록에 담긴 내용은 후보자의 인식을 알 수 있는 중대한 자료"라면서 "의원별 질의응답 시간에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진 의원은 "의정활동 자유가 있는데 왜 막냐"며 공개를 거부하는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항의하기도 했다.

특히 이 후보자가 녹취록에 대해 "(당시 발언에 대해) 기억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야당 의원들은 더욱 공세 수위를 높였다.


이 후보자는 "발언 당시는 흥분된 상태였고 그 내용을 일일이 기억하기가 어렵다"면서 "(오전 답변 과정에서) 착오나 착각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홍종학 새정치연합 의원은 "정신이 혼미한 상태에서 답변했다는 것은 거짓과 위증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로 들린다"면서 "기억이 가물가물하다면 녹취록 전체를 공개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진선미 의원도 "오전 발언이 위증인지, 녹취록을 듣지 않으면 확인이 안 된다"면서 "녹취록 공개를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청문회를 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반대의사를 나타냈다. 이장우 의원은 "녹취록을 야당에 준 언론사 스스로 취재윤리에 반하는 중대 사태라고 했다"면서 "언론 중립 의무를 훼손한 만큼 녹취록을 공개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염동열 의원은 "그동안 청문회가 정쟁과 왜곡으로 피해자가 생겼다"면서 "해당 언론사에서도 부적절하다고 밝혔는데 굳이 녹취록을 들어야 하나. 문서로 만들어 질의응답할 수 있다. 이런 문제로 다투지 말고 후보자의 자질과 국정운영능력을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야 공방이 지속되자 인사청문특위 야당 간사인 유성엽 새정치연합 의원은 "적절한 방법을 통해 결론을 명확히 맺어야 한다"면서 "정회해 여당과 논의하겠다"고 했고, 한선교 인사청문특위 위원장도 결국 여야 간사 간 협의를 위해 이를 받아들였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