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기에 몰린 우버, 해외전략 바꾼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위기에 몰린 우버, 해외전략 바꾼다 우버 택시
AD



[아시아경제 박나영 기자] 승객과 차량을 연결해주는 차량공유서비스 ‘우버’가 창립 5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으면서 해외 전략을 바꾸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일(현지시간) 200여개 도시에 진출해있는 우버가 더 성장하기 위해선 각국 정부와의 협력이 불가피하다고 보도했다.


우버는 최근 해외에서뿐 아니라 텃밭인 미국에서도 잇따라 영업 금지 처분을 받게 되자 각국 정부를 설득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바꾸고 있다. 지난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 선거참모를 지낸 데이비드 플로퍼를 수석 부사장으로 영입한 것도 각 도시에서의 타협안을 찾기 위해서였다.

최근 인도의 라지나트 싱 내무장관은 교통 당국에 등록하지 않은 앱 기반 자동차서비스를 인도 전역에서 금지하도록 하는 명령을 내렸다. 우버 기사가 승객을 성폭행한 사건으로 인도 뉴델리가 우버의 영업을 금지한 지 하루 만이었다.


태국도 택시 업체로 등록하지 않았거나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우버 등 차량공유서비스 제공업체의 영업을 금지했다.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 등 유럽과 브라질, 콜롬비아 등 남미에서도 우버의 영업이 불법이라는 판결이 나왔다. 미국 네바다주 또한 지난달 우버의 영업을 금지했고 지난달 오리건주의 포틀랜드에서도 영업금지 소송이 제기됐다.


우버는 국내에서도 위치정보법 위반 등으로 고발 당하며 영업이 위태로운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시는 우버 불법 영업을 고발하면 포상금 10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나서며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우버는 지난해 서울시와 택시업계의 반발을 피해 영업용 택시와 제휴하는 방법으로 '우버택시' 서비스를 시작하며 합법적인 주행에 나서기도 했다.




박나영 기자 bohe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