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가격의 30% 가량은 특허 로열티로 나간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전자같은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벌이는 '특허전쟁' 비용이 결국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돌아오고 있는 셈이다.
30일(현지시간) IT전문매체 '슬래시기어' 등 외신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특허소송을 벌였던 애플의 법률전문가 2명과 인텔의 임원 1명이 공동으로 쓴 '스마트폰 부품의 로열티에 대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출고가 400달러인 스마트폰의 경우 특허 로열티가 120달러를 차지하며, 이는 스마트폰 가격의 30%가 제조사가 지출하는 특허료라는 의미다.
그간 90만원에서 100만원을 넘나드는 가격의 고급형 스마트폰이 부품 원가를 따지면 3분의1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분석이 여러 차례 나온 바 있다. 이 보고서대로라면 스마트폰 하나에 들어간 특허료가 부품원가에 맞먹을 정도인 셈이다.
기능에 따라 특허료가 부품 원가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보고서는 "롱텀에볼루션(LTE) 기능의 경우 400달러짜리 스마트폰에서 특허료가 60달러지만 주파수를 잡는 역할을 하는 통신칩의 원가는 10~13달러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더 큰 문제는 이같은 특허료 부담이 누적되는 '로열티 스택'이다. 스마트폰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관련 특허 소유권자들의 요구가 중첩되고 결과적으로는 소비자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제조사들은 특허료 부담을 피하기 위해 '특허동맹'으로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삼성전자나 구글, 시스코가 맺은 크로스 라이선스가 대표적이다. 표준특허를 공정하고 합리적이며 비차별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의무인 프랜드(FRAND) 규정도 특허괴물(특허소송만으로 수익을 내는 특허전문기업)들의 공격을 방어하는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
보고서는 "스마트폰의 특허 로열티 누적은 표준이나 비표준 특허를 아울러 현저히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같은 비용은 전체 스마트폰 업계의 수익성을 저하시키고 투자나 경쟁에 나설 동기까지 저하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영식 기자 gra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