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 미국 뉴욕에 있는 한국 유엔대표부도 미 국가안보국(NSA)의 사이버 감시 대상에 올랐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중앙정보국(CIA) 전직 직원인 에드워드 스노든의 제보를 토대로 NSA 도청의혹을 특종 보도한 글렌 그린월드 전 가디언 기자는 13일(현지시간) 전 세계 24개국에서 동시 출간된 '더 이상 숨을 곳이 없다(No Place To Hide)'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NSA는 외교 스파이 활동을 위해 미국 내 우방 대사관과 영사관에 여러 형태로 접근한 것으로 알려졌다. 책이 공개한 2010년 문서에는 NSA의 감시 대상 명단이 담겼다.
명단에는 한국 유엔대표부와 유럽연합 유엔대표부, 프랑스 대사관, 일본 유엔대표부, 이탈리아 대사관, 그리스 대사관 등과 함께 포함됐다.
또 브라질, 불가리아, 콜롬비아, 조지아(그루지야), 인도, 일본, 멕시코, 슬로바키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도 대상이다. 대부분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들이다.
NSA는 각 공관에 대한 사이버 감시 임무 유형도 분류했다. 'HIGHLANDS(컴퓨터·네트워크에 악의적인 감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기법을 활용한 수집)' 'VAGRANT(컴퓨터스크린 수집)' 'MAGNETIC(자성 발생 감지 수집)' 등 여러 형태다. 한국 유엔대표부는 'VAGRANT'라는 방식의 감시 대상이었다.
한국은 또한 NSA에 의해 'B급 동맹국'으로 구분됐다. B급 동맹국은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5개국 정보 협력체인 파이브아이즈(Five Eyes)에 포함되지 못한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그리스, 일본, 노르웨이, 스페인, 스웨덴, 포르투갈, 헝가리 등을 일컫는다.
이 국가들은 NSA에 제한적으로 협력하며, NSA에 의해 원치 않는 감시 대상이 된다고 그린월드는 설명했다.
그는 아울러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자료를 추가로 폭로했다. NSA는 시스코 같은 미국 회사가 제작한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 내부에 몰래 감시 장치를 심었다. 이후 외국 고객에게 배달되기 전 관련 장비를 가져가 감시 작업을 마무리한 뒤 새 제품처럼 재포장해서 배송했다는 것이다.
책은 또 NSA와 영국 정보통신본부(GCHQ)가 항공기에 탑승한 사람의 전화와 인터넷 통신까지 감시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NSA가 경제 스파이 활동에 광범위하게 관여한 증거, 페이스북 같은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동에 대한 감시, NSA에 자국민에 대한 감시를 요청한 파이브아이즈 회원국 이야기 등도 처음으로 공개했다.
그린월드는 자사의 이익을 위해 개인 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지지하면서도 막상 자신들의 사생활은 철저히 보호하려는 인터넷 거물 기업 대표의 이중성을 비판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