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나영 기자] 세월호 침몰 사고 14일째인 29일 서울 정부종합청사 안정행정부 1층에 설치된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상황실. 현재 이곳에는 40명 가량의 안행부 직원 등이 세월호 관련 업무를 하고 있지만 상황실 주변에서는 긴박한 분위기는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부실 비판을 받은 브리핑도 중단한 지 오래된 이제 이곳을 찾는 기자들도 거의 없다. 안에서는 얼마나 부지런히 일을 하고 있는지 모르지만 세월호 사고 3일 만에 사실상 대외적으로는 문을 닫은 '개점휴업'상태다.
이 정부 들어 국민의 '안전'을 가장 중시하겠다며 행정안전부의 이름을 '안전'행정부로 바꾸고 소방방재청이 담당하던 재난대응업무를 모두 가져와 안행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재난대책본부'를 꾸렸지만 정작 그 기능을 가장 많이 발휘해야 할 순간에 중대본의 존재감은 지금 어디서도 느낄 수 없었다.
'안전'행정부도 없고, 중앙재난대책본부에 안전도 없으며, 재난 대책도 없다. 이는 사고 당일인 16일 소식을 듣자마자 사고현장으로 달려가야 할 강병규 안행부 장관이 경찰간부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을 때부터 어쩌면 예견된 파행이었는지 모른다. '단원고 학생 전원 구조' 소식을 공지했다가 학부모들을 다시 충격에 빠뜨린 사건도 중대본이 사고초기 컨트롤타워로서 상황파악에 우왕좌왕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본격 사고수습에 나선 후에도 중대본은 정확한 사고발생 시각과 탑승인원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등 혼선을 빚었다. 최초 구조자가 368명이라고 밝혔다가 1시간 30분 만에 180명, 사고발생 10시간 가까이 지난 시각에 또 한번 164명이라고 정정했다. 사고와 관련한 취재진의 질문에는 줄곤 "확인해보겠다"는 답만 돌아왔다.
조용한 중대본. 이는 '잔해'만 남은 안전 행정의 모습이었다. 공허한 안전 공화국의 현실이며 무너진 중앙의 컨트롤타워의 현주소였다.
박나영 기자 bohe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