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길거리쓰레기통' 20여년만에 부활…5월중 시범설치

시계아이콘01분 2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수원=이영규 기자]1995년 쓰레기종량제 이후 자취를 감추기 시작한 '길거리 쓰레기통'이 20여년만에 다시 경기도 수원, 부천, 시흥 등 3개 지역에 5월 시범 설치된다.


도는 최근 A사와 쓰레기통 제작ㆍ설치비용 지원 협약을 맺었다. 협약에 따라 두 기관은 수원 등 3곳에 100여개의 길거리 쓰레기통을 설치 운영한다. 1개당 쓰레기통 가격은 50만원으로 전체 100개 제작비용 5000만원은 A사가 댄다.

경기도는 A업체가 테이크아웃 점포가 많은데다, 이익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쓰레기통 제작비 지원에 흔쾌히 나서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와 달리 서울은 길거리 쓰레기통을 2000년이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 종량제 시행 직전인 1994년 서울의 길거리 쓰레기통은 7600여개였다. 그러나 종량제 시행과 함께 2000년 길거리 쓰레기통은 3300개까지 감소했다.

이후 쓰레기통이 없어 불편하다는 시민들의 민원이 제기되면서 2012년 4723개로 늘었다. 서울시는 종량제의 취지에 반하지 않는 선에서 필요한 곳에 길거리 쓰레기통을 늘리기로 했다.


길거리 쓰레기통은 1990년 초까지만 해도 도내 웬만한 거리에는 한 두개쯤 있었다. 당시 길거리 쓰레기통의 주 고객은 '담배꽁초'였다. 하지만 집에 있던 쓰레기가 쏟아져 나오면서 길거리 쓰레기통은 각종 오물과 쓰레기로 넘쳐났다. 거리 미관을 해치는 주범이었음은 물론이다.


이에 정부는 1995년1월 쓰레기종량제를 도입했다. 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다. 시민들 사이에 '쓰레기 배출=돈'이라는 생각이 확산됐고, 무단 배출에 가혹한 '징벌'(과태료)이 부과되면서 길거리 투기는 줄었다. 쓰레기 투기가 줄면서 길거리 쓰레기통도 하나 둘 모습을 감추기 시작했다. 쓰레기통을 관리하는 자치단체는 '쾌재'를 불렀다. 쓰레기통 관리에 들어가는 유지보수비를 아낄 수 있어서다. 이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경기도에는 일부 공원과 몇몇 시ㆍ군 시범지역에서만 길거리 쓰레기통이 설치 운영되고 있다.


그렇다면 '케케묵은' 장롱속 결혼사진과도 같은 길거리 쓰레기통이 다시 거리로 나오는 이유는 뭘까.


바로 우리 생활의 변화다. 20여년 전만해도 길거리에 버려지는 쓰레기의 절반은 담배꽁초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커피숍과 편의점이 한집 건너 들어서면서 '테이크아웃'이 보편화되는 등 거리문화가 확 바뀌었다. 이러다보니 각종 캔과 테이크아웃 커피잔, 비닐과 플라스틱 등 부피가 크고, 재활용이 가능한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매일 쏟아지고 있다. 이들 쓰레기 중 상당부분은 보도와 화단 등에 그대로 버려지고, 방치되기 일쑤다.


"예전에 주로 거리에 버려지는 쓰레기는 담배꽁초 등 부피가 작았지만, 요즘은 부피도 크고 재활용이 가능한 것들이 많아 길거리에 쓰레기통을 설치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에 따라 도시 중심상가와 버스장류장 등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을 중심으로 길거리 쓰레기통 시범 설치를 추진하게 됐습니다."


경기도 자원순환과 염호근 주무관은 경기도가 길거리 쓰레기통 시범설치를 결정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길거리 쓰레기통 설치장소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쓰레기통 형태는 담배꽁초 등 일반쓰레기와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로 나눠 수거하는 '2분류'형으로 결정됐다. 일반쓰레기와 플라스틱, 캔 등으로 분류를 세분화할 경우 유지관리가 만만치 않은데다, 시민들이 이용하는데 오히려 헷갈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