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벌그룹 3곳 중 2곳 내부거래 감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4초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올해 재벌그룹 3곳 중 2곳 정도의 내부거래가 감소했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재벌 총수가 있는 그룹 중 분기별로 기업집단현황고시를 하는 36개 그룹 가운데 23곳(63.9%)의 올해 1~3분기 내부거래가 줄었다.

10대 그룹 중에는 삼성(-9.6%), 현대자동차(-1.0%), SK(-5.6%), 현대중공업(-35.0%), GS(-46.4%), 한화(-27.4%), 두산(-15.7%) 등 7곳의 내부거래가 감소했다.


10대 그룹 외에도 신세계(-24.3%), 대림(-13.7%), 금호아시아나(-11.6%), 코오롱(-5.6%) 등의 내부거래가 줄었다. 경영 위기를 맞은 STX(-63.8%), 웅진(-80.7%) 등의 내부거래도 크게 줄었다.

반면 LG(17.8%), 롯데(16.5%), 한진(1.4%) 등 3곳 그룹은 오히려 내부거래가 늘었다.


효성의 경우 다른 그룹보다 내부거래 규모는 작지만 올 1~3분기 내부거래 금액이 1013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0.8% 늘었다.


또 현대백화점(15.2%), 현대(12.3%), 한진중공업(46.2%), 동양(69.9%), CJ(28.6%), 동국제강(17.6%) 등도 내부거래가 증가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대기업 일감 몰아주기 관행에 대한 거센 비판 때문에 대기업들이 내부거래를 자제한 것으로 보인다"며 "사업 구조가 변경돼 내부거래가 불가능해지고 일감 몰아주기에 증여세를 과세하는 것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