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빈섬의스토리]창의력 비밀은 유머

시계아이콘01분 56초 소요

영화 '잡스'와 진짜 잡스 같은 점 다른 점

[이빈섬의스토리]창의력 비밀은 유머
AD

어쩌다 보니 스티브 잡스에게 구도자의 이미지가 덧씌워져 있긴 하지만, 그는 인간의 한 측면을 강하고 풍부하게 가진 사람이 아닐까 싶다. 그 측면은 산업사회 인류에게 상당한 충격을 준 '낯선 무엇'이었다. 자본주의 기업의 탐욕스럽고 전투적인 생리를 그는 꿰뚫고 있었지만, 전장(戰場)이 거기에 있지 않음을 알았다. 소비자의 마음과 눈길이 향하는 곳, 그곳에 캠프를 차렸다. 많은 반대와 회의적 의견들이 있었지만 결국 그는 거기로 갔고 불가능해보이던 것들을 실천하고 이뤄냈다.


잡스가 죽던 날 아시아경제신문은 1면 전면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면에 그의 확신에 찬 미소 사진을 실었고 헤드라인을 '불멸'이라고 달았다. 사람의 죽음 앞에서 불멸을 말한 것은 패러독스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가 인류에게 남긴 것은 '창의'의 힘이었다. 그 창의는 인간의 원초적인 미감과 스타일과 편리함이 작고 단순하게 결집되어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을 발산하는 것이었다. 얇고 납작하며 모서리가 둥근 작은 물건은 이전의 많은 것을 한꺼번에 담아냈지만, 단순하며 직관적이며 새로웠다.

인류는 이 작은 물건 앞에서 '창의'가 무엇인지를 놀랍게 경험했다. 그 경험의 기억은 불멸이다. 헤드라인은 그것을 품고 있었다. 이 땅의 미디어에도 잡스가 필요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신문을 뒤집어 이탈하고 있던 독자의 마음속으로 매혹적인 무엇이 되어 재진입하는 꿈을 꾼다. 그것이 무엇인지 아무도 모를 것이다. 창의는 그것이 눈앞에 나타나는 순간에라야 갈채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잡스'라는 영화를 보면, 감독은 잡스를 비사회적인 기인(奇人)으로 묘사하고 있다. 동료들과 충돌하고 양보 없이 고집을 부리며 자신의 것을 표절한 경쟁사에 대해 증오를 불태우는 다혈질적인 천재. 그런 일면이 있었지만 그게 그를 대표하는 특징일까. 하나의 삶을 그려내는 스토리텔링이란 한 인간에 대한 심각한 오독이거나 부실한 이해이기 쉽다는 것을 여기서도 본다. 영화에는 잡스가 자신의 회사 주차장에 차를 대는 장면이 두 번쯤 나온다.

[이빈섬의스토리]창의력 비밀은 유머

그런데 장애인용 주차 장소에 서슴없이 파킹한다. 주차장이 텅 비었는데도 굳이 장애인 공간에 차를 세우는 까닭은 뭘까? 스스로를 장애인이라 생각한 걸까? 이 장면은 그의 전기에 등장하는 일화에서 따온 것이다. 사장이었던 잡스는 애플사 주차장에 차를 세우러 갔다가 빈자리가 전혀 없어서 빙빙 돌다가 마침 비어 있는 장애인용 주차칸을 발견하고는 거기에 주차하고 사무실로 올라간다.


주차 관리인이 나와서 사장의 차가 장애인용에 파킹되어 있는 것을 보고는 이렇게 썼다. '다르게 주차하세요(Park Different).' 물론 이 구절은 잡스가 창안한 애플의 슬로건인 '다르게 생각하세요(Think Different)'의 멋진 패러디였다. 하지만 이 일화는 잡스가 장애인 주차장에 차를 세우는 습관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니라, 세계 최고 기업의 최고경영자(CEO)가 운전기사도 없이 출퇴근하며 그것도 지정주차장을 갖고 있지 않는, 그 특이한 점에 잡스스러운 데가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었다.


주차 관리원의 농담을 보라. 한국에서 기업 회장의 차에다 그런 유머센스의 스티커를 붙여놓을 수 있는 배짱을 지닌 주차요원이 있을까. 권위나 특권의 존재가 아니라 리더로서의 빼어난 역할자인 잡스. 하지만 영화는 그걸 담지는 못한 듯하다.


기존의 것을 되풀이하는 디자이너에게 '이 쓰레기를 날마다 만들어내면서 아직까지 여기 있는 이유는 뭔가'라고 묻던, 잡스의 삼엄한 질문은 직장생활을 하는 우리 모두에게 꽂히는 말이다. 그는 자동차의 번호판을 달고 다니지 않았다. 차의 흰색과 번호판의 옅은 살색, 그리고 그 글자색이 전혀 어울리지 않아 그의 미감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고 한다. 그런데 어떻게 번호판을 달지 않을 수 있었을까.


혹자는 잡스가 어떤 이유로 특권을 누렸을 거라는 짐작을 내놓고 있다. 그런데 현지에 살았던 어떤 사람이 이런 해답을 내놨다. "자동차를 6개월마다 새 차로 바꿔 등록하면 된다." 주 행정부의 신차에 대해 6개월간 번호판을 달지 않는 것을 허용하는 규정을 이용한 것이다. 이렇게 성가신 일을 감수하면서까지 스스로의 스타일을 고집하는 그 성격이 애플의 제품들에 숨어들어가 있는 셈이다.
 
빈섬 이상국 편집부장 isomis@asiae.co.kr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