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 세계은행이 개발도상국들의 체계적인 위기관리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세계은행은 오는 11일부터 3일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연차총회를 앞두고 최근 펴낸 보고서에서 "개발도상국들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평상시에 위기관리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며 "이는 이들 국가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을 때 선진국에 비해 개발도상국들이 해외자금 이탈이나 경제침체와 같은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남아프리카와 남미 국가들의 경우 자영업자의 비중이 70~80%에 달한다. 자영업자 비중이 높으면 부채문제가 심화하고 금융위기 발생 시 외부충격에 더 크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들 국가는 평소에 위기상황에 대한 체계적인 대비책 확립에 신경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를 위해서 개발도상국들은 한국과 싱가포르와 같은 국가들의 거시건전성 규제수단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경우 은행권 건전성 강화와 위기관리 능력 향상을 위해 비핵심부채 규제, 유동성 확보, 배당 제한과 같은 정책을 사용한다. 싱가포르는 국가 차원의 위기관리센터를 설립해 각종 글로벌 위기의 발생 상황을 확인하고 대응책을 점검하고 있다. 이처럼 평소에 철저한 위기관리를 통해 실제로 위기가 발생했을 때 최악의 상황을 피하고 충격에서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세계은행은 지적했다.
김용 세계은행 총재는 "위기에 대한 적절한 인식과 체계적 대응이 실제 상황에서 효과가 크다는 증거가 많다"며 "개발도상국들은 위기가 닥쳤을 때 이에 맞서 싸우는 '파이터'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위기 관리자'로 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용 총재는 이날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세계은행의 개혁 의지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김 총재는 "세계은행의 조직 문화가 2030년까지 빈곤을 뿌리 뽑겠다는 목표를 가로막고 있다"며 "구조조정을 통해 세계은행이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더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