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고리 3호기 가동 시점 '논란'…밀양 공사는 재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3호기 가동 시점을 놓고 적잖은 논란이 일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김제남 정의당 의원이 문제를 제기하자 한국수력원자력 측이 즉각 해명에 나선 것. 신고리 원전 3호기 가동 시점이 중요한 이유는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과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사연은 이렇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 등 밀양 송전탑 건설 사업 주체는 그동안 밀양 반대주민을 설득하면서 "신고리 3호기 가동 시점에 맞춰 송전선로를 지어야만 한다"고 주장해왔다. 신고리 3호기에서 새롭게 만드는 많은 양의 전기를 경남 창녕군 북경남변전소에 이르는 90.5㎞ 구간의 송전선로를 통해 전달해야 한다는 논리다. 반대로 밀양 주민의 반대로 송전탑을 짓지 못한다면 신고리 3호기를 완공하고도 여기서 생산하는 전기를 활용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이런 여론이 형성되자 밀양의 일부 주민은 '국책 사업에 반하는 정서'를 거둔 것도 사실이다. 만성 전력난을 해소할 수 있다는 압박도 있었다.

그런데 김 의원은 11일 "정부가 밀양 송전탑 공사 강행 이유로 내세운 신고리 3호기 내년 3월 상업운전이 실현 불가능한 거짓말"이라고 주장하면서 '가동 시점'은 또다시 쟁점이 됐다. 김 의원은 근거로 '신고리 3호기는 현재 케이블 부품에 대한 재시험 중이며 통과하더라도 내년 8월에나 준공 가능하다는 점'을 들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정부는 신고리 3호기 가동이 임박했다고 밀양 주민들을 압박해 공사를 강행하려 하지만, 신고리 3호기의 위조 케이블 재시험 등 안전성 검사 일정을 감안하면 정부가 내세운 이유는 거짓이 명백하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김 의원의 주장에 대해 한수원은 "상업운전이 아닌 시험운전(시운전) 가동 시점을 기준으로 봐야 맞다"며 반발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2월부터 연료장전을 한다는 의미는 직접적으로 전기가 발생하기 시작한다는 뜻"이라며 "그 즈음에 맞춰 밀양 송전탑 건설 공사를 마무리해야만 한다"고 설명했다.

산업부와 한전도 시운전 시점을 마지노선으로 잡고 밀양 송전탑 공사 재개 계획을 잡은 상태다. 전날 정홍원 국무총리가 밀양을 직접 찾고 공사 재개 협조를 거듭 당부한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는 밀양 송전탑 갈등의 마지막 해결을 위해 가구당 약 400만원씩 직접 지원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 주민 보상안을 확정했다. 한전이 보상할 지역특수보상비 185억원 가운데 40%(74억원)를 1800여가구에 나눠주겠다는 것이다. 밀양 송전탑 공사는 추석 이후, 늦어도 10월 초 재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