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래에셋은퇴연구소 "70대 전후 가계수입 크게 하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은퇴자 가계 수입 이중추락, 금융자산의 연금화 필요


[아시아경제 진희정 기자] 은퇴자 가운데 70대 전후에서 가계 수입이 크게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은퇴자 가계수입의 이중추락과 양극화'를 통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1일 밝혔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2012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토대로 한 연구에서 도시 거주 은퇴자 가구는 '60대 전후'와 '70대 전후' 2번에 걸쳐 가계수입이 크게 축소되는 이중추락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60대 가구의 평균 가계수입(282만원)은 50대 가구(441만원)에 비해 36%, 70대 이상 가구의 수입(154만원)은 60대에 비해 45% 감소했다. 중위 가계수입은 더 가파르게 축소돼 50대 가구 384만원에서 60대 215만원, 70대 95만원으로 각각 44%, 56% 크게 하락했다.

60대 이상 은퇴자 가구는 50대 가구에 비해 가계수입 양극화가 심화됐으며, 은퇴자 가구 상위 20%의 평균수입은 하위 20% 대비 14.6배로 50대 가구(7.3배)에 비해 2배 확대됐다.


특히 은퇴자 가구 중 절반 이상(59%)이 부부 적정소득 미만의 소득을 거두고 있으며, 최저생계비(94만원, 2인기준)미만의 수입이 있는 가구도 34%에 달한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 "70대 전후 가계수입 크게 하락"
AD


이에 대해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60대 이후의 ‘일자리의 질(質)’과 ‘일자리 유무(有無)’가 가계수입 이중추락과 양극화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먼저 가계수입 이중추락은 60대 가구주의 ‘일자리의 질’이 주는 영향이 크다. 60대 가구주의 취업률은 63%에 불과해 50대(89%)에 비해 큰 폭으로 줄었으며, 고용 형태는 임시·일용직의 비중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상용근로자 비중이 하락해 60대 중 상당수가 임시직으로 편입되고 있다.


연령대가 70대를 넘어서면 취업률마저 29%로 떨어지고 그중 절반(15%)은 임시·일용직에 머물러 은퇴자 가계수입의 2차 추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일자리의 유무’는 은퇴자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 은퇴자 가구의 소득계층이 낮아질수록 가구주의 취업률이 하락하고 임시·일용직의 비중마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가계수입이 일자리에 좌우되는 이유는 연금과 보유자산을 활용해 충분한 수입을 확보하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풀이됐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은퇴자 가계수입의 이중추락과 양극화를 극복하고 가계수입의 완만한 조정을 유도하는 ‘가계수입 스무딩(Smoothing) 3大 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60대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 60대 전후 1차 추락하는 가계수입을 끌어올려 노후 생활을 위한 공적연금을 높이고 은퇴자산을 보충해 70대 이후 완전은퇴를 대비토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을 안정적인 소득흐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자산 유동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은퇴자 가구 중 70%가 거주주택을 보유하며 총자산 중 거주주택은 약 45%(1억 4천만원)를 차지함을 감안할 때 주택연금 활성화는 은퇴자 자산유동화 방안의 핵심이다.


셋째 은퇴자들은 남은 생애에 걸쳐 금융자산을 정기적인 수입으로 전환해 쓰는 ‘연금화 전략을 수립해 실행해야 한다.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소장은 "특히 수입 상위 20%를 제외한 나머지 계층에서 70대 전후 가계수입이 크게 하락했다"며 "이들 계층에서 금융자산의 연금화가 앞으로의 중요 과제로 떠오를 전망"이라고 말했다.




진희정 기자 hj_j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