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2010년 9월 미국의 경기침체 여부를 공식 판단하는 전미경제조사국(NBER)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미국 경기침체가 2007년 12월 시작돼 2009년 6월 종료됐다고 선언했다. 침체 탈출 이후 미국 실업률이 꾸준히 줄고 국내총생산(GDP)은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경제 매체 데일리 파이낸스는 이처럼 미국 경제가 계속 개선되는 상황에서도 빈곤층은 계속 늘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데일리 파이낸스가 미국 노동시장을 면밀히 분석해 본 결과 노동가치 하락이 빈곤층 증가의 원인으로 밝혀졌다. 즉 근로자들이 노동의 대가로 받는 보수가 줄다 보니 경제가 성장하는 속에서도 살림살이는 점점 궁핍해지고 있는 것이다.
2000~2007년 미국 노동자의 평균 생산성은 16% 증가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평균 임금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할 경우 2.6% 느는 데 그쳤다.
경기침체를 겪으면서 근로 환경은 더욱 악화했다. 침체 기간 중 미국에서는 약 850만개의 비농업 부문 일자리가 사라졌다.
많은 실업자가 양산되고 한 번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가 다시 취직하려면 전보다 낮은 수준의 임금도 감수해야 했다. 대신 생산성은 침체 이전 수준을 요구 받았다.
그 결과 현재 노동자 하위 60%의 연간 소득은 6만5000달러(약 7137만원)를 밑돈다. 이는 2000년대보다 낮은 수준이다. 현재 물가상승률이 반영된 미국의 최저 임금은 시간당 3달러다. 이도 45년 전보다 낮은 수준이다.
미 경기침체가 종료된 뒤 GDP 규모는 1조달러 이상 늘었다. 지난 7월 미국 실업률은 7.4%를 기록했다. 이는 침체 종료 직후인 2009년 10월의 10%에서 2.6%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그러나 최저 수준의 생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입 수준인 빈곤선 이하 계층은 2007년 이후 20% 늘었다. 빈곤선 125% 이하 수준의 소득을 벌고 있는 이른바 차상위 빈곤층도 늘어 현재 미국인 20%가 차상위 빈곤층에 속한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