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4대천왕' 떠나자 모피아 금융수장

시계아이콘01분 00초 소요

이명박정부 때 임명된 '금융권 4대 천왕'이 물러나면서 '모피아'가 주요 금융기관과 금융 유관 단체 수장 자리에 속속 들어앉고 있다. 지난 이틀 새 KB금융지주와 NH농협금융지주의 새 회장에 각각 내정된 임영록 KB금융 사장과 임종룡 전 국무총리실장은 전형적인 재무관료 출신이다. 한국거래소와 신용보증기금의 이사장 자리도 모피아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소문이 자자하다. 최근 바뀐 여신금융협회장을 비롯해 은행ㆍ보험ㆍ저축은행 등 금융업권별 협회장 자리는 거의 모피아로 채워져 있다.


그중에서도 KB금융지주와 NH농협금융지주의 경우는 특히 주목된다. KB금융지주는 정부 지분이 전혀 없는 순수 민간 금융회사다. 또 NH농협금융지주는 경제지주와 함께 농협 개혁의 양대 축 가운데 하나다. 이런 두 금융지주의 지휘권을 모피아로 불리는 재무관료 출신이 쥐게 된 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관치금융의 통로가 되기는 쉬워도 금융지주의 자율적 발전에는 장애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두 금융지주 모두 회장후보추천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새 회장을 내정했다고 한다. 하지만 과거의 사례를 볼 때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음은 능히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역시 재무관료 출신인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KB금융지주의 회장후보추천위가 열리기 며칠 전 "관료도 능력과 전문성이 있으면 금융그룹 회장을 할 수 있다"고 발언, 사실상 드러내 놓고 압력을 가했다. 농협금융지주의 경우는 회장후보추천위에서 애초에는 거론되지도 않던 임종룡씨가 막판에 급부상하여 결국 회장으로 내정됐다. 같은 관료 출신인 전직 회장이 왜 중도 퇴진했는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


물론 금융기관 경영에서 그들이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없지는 않다. 예컨대 공공성이 강해 아무래도 감독기관 등 정부의 정책적ㆍ행정적 관여를 많이 받게 되는 금융기관으로서는 그들이 갖고 있는 대정부 로비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러나 금융 현업에 필요한 실무적 경영 능력이나 현장 감각을 갖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게다가 그들의 관료 체질은 시대와 시장이 요구하는 혁신에 둔감하다. 우리의 금융산업이 제조업에 비해 국제경쟁력에서 크게 뒤지게 된 가장 큰 이유도 모피아로 상징되는 뿌리 깊은 관치금융 체제에서 찾아야 할지 모른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