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주말특근 합의하고도 공장 세우다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현대자동차가 지난 3월 초부터 9주째 주말 가동을 멈췄다. 밤샘근무를 없애는 '주간 연속 2교대제'를 시작하면서 주말 특근비를 둘러싼 노사 간 이견이 노노 간 갈등으로 번졌기 때문이다. 주말 가동 중단으로 지금까지 6만3000여대, 1조3000억원어치의 생산 차질을 빚었다. 올해 판매목표인 466만대 달성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협력업체들의 매출도 15~20% 줄었다고 한다.


특근 수당을 놓고 이견을 보이던 현대차 노사는 지난달 26일 노조 요구액의 96.2%인 44만9965만원의 특근 수당을 보장하기로 합의하고 두 달여 만에 휴일 특근을 재개키로 했다. 45만여원의 특근 수당은 기존 주야 맞교대 시절의 31만원을 크게 웃도는 금액이다. 그런데 울산1~5공장 등 9개 사업부 대표들이 시간당 생산대수(UHP) 하향 등을 요구하며 이를 전면 거부해 문제가 생겼다.

강성 노조 세력이 주말 특근을 거부한 이유가 엉뚱하다. 예전 특근 때에는 평일의 70~80%의 일감만 처리했지만 앞으로는 평일 수준으로 해야 한다면서 반대한 것이다. 돈은 더 받으면서 일은 예전처럼 하겠다는 얘기다. 게다가 이는 표면적인 이유일 뿐 속내는 9월에 있을 노조위원장 선거를 겨냥한 노동 조직 간 선명성 경쟁 때문이라고 한다.


현대차는 지금 안팎의 여러 가지 악재로 흔들리고 있다. 지난달 미국에서 14개 차종 187만대의 자동차를 리콜했다. 여기에 엔저를 등에 업은 도요타를 비롯한 일본 자동차업체의 가격 인하 등 전 방위 공세에 시달리고 있다. 이런 이유 등으로 올해 1분기 매출이 지난해 1분기보다 6% 늘어났지만 영업이익은 10.7%나 줄었다. 4월에는 다소 회복세를 보였지만 미국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동기 5.3%에서 4.9%로 0.4%포인트 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노조가 '정치적 이유'로 주말 가동을 멈춘 것은 도를 넘은 이기적 행태다. 회사의 어려움이나 협력업체 근로자들의 고통은 아랑곳하지 않는 태도다. 현대차가 국내생산을 줄이고 해외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얘기가 들린다. 임금은 높고 생산성은 낮은데 노사대립마저 빈발하는 상황에서 나온 고육책인 셈이다. 현대차 노조는 미국 GM이 강성 노조 때문에 몰락한 사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