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공공건축물 발주방식 ‘저가입찰→디자인공모’ 전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시의 공공건축물 발주방식이 ‘저가입찰’에서 ’디자인공모’로 바뀐다.


8일 서울시는 공공건축물의 품질향상을 위해 저가입찰을 중단하고 도면을 통해 입찰을 진행하는 ‘디자인 공모’ 형태로 입찰 제도를 개선한다고 밝혔다. 즉 공공공사 발주시 가장 가격이 낮은 업체를 채택하는 기존 방식에서 공간배치, 심미성 등의 디자인을 심사해 선정하는 방식으로 바꾸겠다는 이야기다. 시내 25개 자치구가 발주하는 공공공사 역시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밖에 ▲공모방식 개선 ▲심사과정 완전공개 ▲기획단계부터 시민·전문가·공무원이 함께 참여하는 거버넌스 체계 구축 ▲공사과정 중 설계자 참여 보장 ▲건축전문사이트 구축 ▲서울형 총괄건축가 제도 도입 등의 내용도 담겼다.


구체적으로는 젊고 실력 있는 건축가들의 참여를 위해 설계 공모 시 약식심사도 적극 독려한다. 기본도면, 설계 설명서, 스티로폼을 사용한 매스모델 등 심사에 꼭 필요한 도면만 제출토록 해 소형 설계사무소도 충분히 적은 비용으로 공모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설계 공모 때 심사 위원의 명단을 사전에 공개하고 심사 전 과정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해 심사의 투명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설계자에게 자기 작품의 개념, 계획 등을 설명할 기회도 준다. 주민의 실제 이용 수요를 사전에 반영하고 잦은 설계변경으로 생기는 예산 낭비요인을 없애고자 공공건축물 기획단계에 시민, 전문가, 공무원이 함께 참여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사후 설계 관리제를 도입해 그동안 시공에는 관여하지 못한 설계자의 참여도 보장하고 중앙정부와 협의를 거쳐 디자인 감리제도를 신설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서울의 공공건축물이 시민 다수가 공감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반영하는 디자인을 갖출 수 있도록 하겠다”며 “올 하반기에 구축할 건축전문 사이트에 시의 연간 발주량, 발주시기, 예정금액 등을 게재해 설계자들이 사전에 정보를 공유하고 발주시기에 맞춰 시안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도울 방침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시는 민간 전문가가 공공에서 발주하는 모든 공공건축물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서울형 총괄건축가’ 제도를 내년부터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