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국, IPO규제에 때아닌 온라인 주식거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중국의 e베이'로 불리는 타오바오(淘寶)는 중국의 대표적인 온라인 상거래업체다. 등록된 고객수만 5억명, 판매되는 상품의 수는 8억개, 홈페이지의 하루 방문자수는 2억1300만명에 달한다.


그런데 타오바오에서 최근 관심을 끈 사건이 하나 있었다. 바로 그래픽 디자인 사업을 시작한 한 벤처기업가가 이 온라인 상거래 회사를 통해 투자자금을 모집한 것이다.

미 경제격주간지 포브스는 중국 최대의 온라인 상거래업체를 당황하게 한 이 해프닝을 소개하면서 중국의 기업공개(IPO)시장의 침체와 어려운 은행대출이 벤처기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의 벤처기업가 주 지앙(朱江)은 최근 '메이크브이(MakeV)'라는 그래픽 디자인 회사를 창업했다. 그런데 회사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투자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게 됐다. 고심 끝에 그는 타오바오에 "기업의 미래를 판매한다"는 내용의 투자설명을 올렸고 주당 120위안(약2만1000원)으로 총 100주의 주식을 매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타오바오가 속해 있는 알리바바 그룹은 온라인 주식거래는 불법이라며 하루만에 이 거래를 중단했다. 알리바바 측은 공식 성명을 통해 "타오바오에서는 고객들이 원하는 물건들을 사고팔 수 있지만 주식거래는 금지하고 있다"며 "발견 즉시 거래를 중단하도록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그러나 온라인 투자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으며 하루만에 목표를 웃도는 자금을 조달하는데 성공했다.


포브스는 이와 같은 웃지 못할 해프닝이 벌어진 것은 정체된 중국의 IPO시장 때문이다고 분석한다. 이와 함께 중국 은행들의 대기업ㆍ국유기업 위주의 대출 관행으로 인해 벤처기업들이 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길이 더 험난해지고 있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상하이 및 선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두 증권거래소에 신규상장(IPO)한 기업은 149곳으로 전년보다 46.01% 감소했다. 중소기업의 경우 상황이 더 심각하다. 선전증권거래소의 중소기업부에 상장된 기업은 52곳 321억위안, 벤처기업부는 72곳 339억위안에 불과했다. IPO 기업의 평균 자금조달금액은 6억6800만위안(1202억원)으로 전년의 9억8600만위안보다 32.3%나 줄었다.


상황은 올해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가 올해부터 IPO신청 기업에 대해 한층 더 강화된 심사기준을 적용하겠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의 랠리에도 불구하고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자신감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점도 있다.


주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벤처기업에게 시간은 생명"이라며 "중국에서는 지나치게 많은 규제와 어려운 은행대출 때문에 신생기업이 투자자금을 모집할 수 있는 길이 막혀있다"고 말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