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통신사 단말기 할부금으로 발행한 ABS 11조..사상최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작년, 투자재원 확보 위해…발행규모 2년만에 10배 급증

[아시아경제 정재우 기자] 작년 통신사가 단말기 할부금을 담보로 조달한 자금이 11조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은 올해도 발행규모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6일 금융감독원은 작년 단말기할부대금채권(단말기할부채권)을 기초로 발행된 자산유동화증권(ABS)이 총 10조9507억원으로 전년(5조8503억원) 대비 87.2% 급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발행된 전체 ABS 발행금액 47조5493억원의 23%에 달하는 규모다. 발행건수도 8건에서 21건으로 크게 늘었다.

지난 2010년 1조1538억원(2건)을 기록한 단말기할부채권 기초 ABS 발행규모는 2011년 5조8503억원으로 급증한 뒤 지난해 다시 한 번 두 배 가까이 불어났다. 결국 2010년 이후 2년 만에 10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올해도 이미 지난달 신한카드가 SK텔레콤의 단말기할부채권을 기초로 2934억원 규모의 ABS를 발행한 바 있다. 지난달 발행된 ABS의 경우 다양한 만기에 따라 2.83~3.08% 수준의 금리로 발행됐으며 신한금융투자, SK증권, 한화투자증권, 현대증권 등이 인수자로 나섰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고가의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되면서 단말기할부채권 규모가 커져 이 채권을 기초로 한 ABS 발행이 함께 늘어났다”며 “통신사 간 치열한 경쟁으로 투자재원 조기 확보를 위해 ABS 발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단말기할부채권 같은 경우 다른 채권에 비해 안정성이 높고 신용보강이 잘돼 있는 데다 채권 자체의 상환성도 높은 편이라는 설명이다.


통신사별로 SK텔레콤의 단말기할부채권을 활용해 하나SK카드, 신한카드, KB국민카드가 각각 3조8262억원, 5710억원, 5840억원씩 ABS를 발행했다. 당초 SK텔레콤의 단말기할부채권 기초 ABS는 하나SK카드가 독점으로 발행해왔지만 작년 4분기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가 발행사로 합류했다.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자사 단말기할부채권을 활용해 3조2950억원, 2조6745억원 규모로 ABS를 발행하며 자금을 조달했다.


SK텔레콤의 경우 카드사를 활용해 자금을 조달한 반면 KT와 LG유플러스는 직접 ABS를 발행하며 자금을 조달했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은 하나SK카드의 영업망 확장을 위해 전략적으로 카드사를 통한 발행을 택했을 것”이라면서 “금융당국의 규제로 하나SK카드의 추가 발행이 힘들어지면서 다른 카드사를 택해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재우 기자 jjw@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