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벨기에, 국적 신청 LVMH 회장에 계속 딴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벨기에 정부가 루이뷔통 모에 헤네시(LVMH) 그룹의 벨기에 활동과 관련한 세무자료를 프랑스에 전달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프랑스 일간 리베라시옹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프랑스의 '부자 증세' 정책에 반발해 벨기에 국적을 신청한 베르나르 아르노 LVMH 회장에게 벨기에 정부가 계속해서 딴지를 걸고 있는 것이다.


앞서 벨기에 내무부는 아르노 회장의 벨기에 거주기간이 3년이 지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그의 국적 신청에 대해 부정적인 소견을 의회에 전달한 바 있다. LVMH의 세무 자료까지 프랑스 정부에 넘기려 하면서 벨기에 정부가 계속해서 아르노 회장에 제동을 걸고 있다며 신문은 아르노 회장과 벨기에 정부 간 밀월 관계가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LVMH 그룹 자회사 가운데 상당수가 벨기에에 있지만 대부분 실질적인 활동이 없어 세금을 적게 내기 위한 도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고 리베라시옹은 지적했다. 이에 대해 LVMH 측은 성명에서 "관련 회사들은 모두 국제법은 물론 벨기에 세법을 준수하고 있다"며 반박했다고 리베라시옹은 덧붙였다.


약 410억달러의 재산을 가진 유럽 최고 부자인 아르노 회장은 지난 9월 초 벨기에 국적 취득을 신청했다. 당시 새로 출범한 프랑수아 올랑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부자 증세안에 반발, 세금 폭탄을 피하기 위해 벨기에로 도피하려 한다는 비난이 제기됐다. 리베라시옹은 1면에 전면으로 아르노 회장의 사진을 실은 뒤 '꺼져, 이 돈 많은 멍청아'라고 제목을 달아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LVMH측은 당시 논란이 일자 벨기에에서의 사업 확장에 필요해 국적 취득을 신청했다며, 아르노 회장은 프랑스 국적도 계속 보유하고 세금도 프랑스에 낼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아르노 회장이 불만을 품은 것으로 알려진 부자 증세안은 최근 의회를 통과, 다음달부터 프랑스에서 연간 소득이 100만유로가 넘는 고소득자들은 소득의 최대 75%를 세금으로 내게 됐다.




박병희 기자 nut@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