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금융사기 피해가 50~60대 연령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의 평균 피해액은 8250만원으로 전체 평균(3825만원)의 두 배를 넘었다.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이 성인 25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실제로 금융사기를 당한 경우가 3.6%, 사기를 당할뻔한 경우가 17.4%였다. 응답자 5명 중 1명꼴로 금융사기 관련 경험이 있는 것이다. 금융사기 경험과 피해액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많은데 금융사기 예방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8%에 불과했다.
올 들어 특히 각종 금융사기가 급증했다. 11월까지 금융감독원에 접수된 사기 피해는 2만133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014건)의 10배를 넘어섰다.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이 늘어난 틈을 탄 사기행각이 기승을 부린 것이다. 사기 수법도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보이스피싱이 조금 줄어드나 했더니 금융회사 유사 전화번호와 가짜 보험증권을 활용하는 것으로 진화했다. 금융회사가 휴대전화로 보낸 인증번호를 요구해 대출금을 가로채거나 휴대폰 소액결제를 활용하는 등 휴대폰을 활용한 신종 사기도 늘고 있다.
금융사기는 중대 범죄이자 사회악이다. 특히 인생의 황혼기인 50~60대에 퇴직금을 날리거나 노후 대비용으로 저축한 예금을 사기당하면 여생을 망친다. 금융사기 주의보를 내리는 것만으론 부족하다. 금융감독원과 경찰이 피해 신고를 접수하는 등 뒷북만 쳐서는 안된다. 범정부적으로 사회악 대처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강력 대응해 뿌리뽑아야 한다. 상시적인 단속과 예방교육이 절실하다.
금융사기 신고센터를 상설화해 새로운 수법이 감지되면 끝까지 추적해 검거하고 엄중 처벌해야 한다. 아울러 각종 금융사기 수법에 대한 예방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퇴직자는 물론 노인종합복지관이나 마을회관, 보건소 등을 순회하며 노년층을 대상으로 사기 수법별 대처 방안을 주지시켜야 할 것이다. 통신사도 보이스피싱 수단으로 악용되는 인터넷전화 가입자에 대한 실명 확인을 철저히 하는 등 예방책을 강구해야 한다. 금융사기와 불법 사금융에 대한 단속은 보여주기 위한 이벤트에 그쳐선 안된다. 대선을 앞두고 후보들마다 민생을 강조하는데 금융사기와 불법 사금융을 뿌리뽑는 것이야말로 시급하고 중요한 민생 과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