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과 대화할 수 없습니다.'
회사에서 쓰는 메신저에 실수로 필자 본인을 지정하고 메시지를 보냈더니 뜬 문구다. 이를 보고 한 직원이 얘기한다. "너무 냉정하네요. 저 같으면 차라리 '요즘 힘드신가요?'라는 문구를 넣었을텐데…." 웃고 넘어갔지만 내내 그 문구가 마음에 남는다. 어쩌면 우리는 자신과 대화할 수 없는 사회가 아닌 자신과 '밖에' 대화할 수 없는 사회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요즘 힐링이 대세다. 예능부터 여행상품, 서적, 인문학강의에 이르기까지 온통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위안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몸과 마음의 치료'라는 원래 뜻이 무색할 정도로 요란한 감이 있기까지 하다. 그만큼 현대인들이 마음 의지할 곳이 없다는 방증일 것이다.
얼마 전 신문지면을 어지럽혔던 강력 범죄들도 마찬가지다. 자매를 살인하고, 여의도 한복판에서 칼부림을 한 것은 결코 용서받을 수 없는 범죄임에 마땅하지만, 그들이 왜 그런 '괴물'이 됐나를 보면 안타깝다. 몇 년간 집 안에서 꼼짝 않고, 누구 하나 찾아주지 않고, 가족마저 외면한 상태. 주위의 평을 보면 온순하고 조용했다는데, 겉으로는 아무 문제 없어 보여도 마음은 곪아갔던 것이다. 소위 은둔형 외톨이로 다른 사람과 아무런 관계도 맺지 않고 지내다 그 지경까지 가지 않았을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 했다. 누군가와 대화하고, 교류하고, 마음을 나누는 것이 본성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은둔형 외톨이 범죄자들은 이것이 완전히 막힌 상태였다. 누구보다 힐링이 필요한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최근 서울시만 해도 1인 가구 수가 4인 가구 수를 넘어섰다. 일반적으로 '가정' 하면 떠오르던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의 단란한 모습이 더 이상은 '일반적'이지 않다는 의미다. 그래서 카페나 식당을 가면 1인석이 갖춰져 있고, 심지어 '혼자 식사하기의 최고봉'이라는 1인용 공간이 생기고 있단다. 혼자 쓸쓸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 또는 '무연고사'가 늘어나면서 고인의 유품을 대신 정리해 주는 업체까지 생겼다. 20년 후에는 셋 중 한 명이 혼자일 것이라는 예측까지 더해져 '은둔형'까지는 아닐지라도 '외톨이'가 사회적으로 일반화될 가능성이 높다. 어떻게 해야 할까. 현대인들의 고독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은 진정 '힐링 캠프' 밖에 없는 걸까.
전문가들은 경제적인 문제, 직장 문제 등 여러 이유로 비록 생활패턴은 혼자일 수밖에 없어도 '사회적 관계' 자체를 포기하지는 말라고 한다. 혼자 살더라도 동호회나 모임, 취미생활 등을 통해 끊임없이 관계를 맺으라는 것이다. 군중 속의 고독한 섬으로 남지 말라는 충고다. 그러나 이는 개인 의지만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사회적 뒷받침도 필요하다. 정부가 소외계층을 돌보고 복지정책에 더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직원 수가 늘어날수록 개인보다는 '팀원'이나 '구성원'이라는 그룹으로 대하기 쉽다. 불황이다 뭐다 해서 회식도 많이 줄어든 요즘, 특히 젊은 직원들은 고민을 털어놓을 상대가 없어 방황하다 업무능률이 떨어지거나 아예 회사를 그만두는 경우도 다반사다. 공장가동률이 중요하던 산업사회처럼 개인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때도 있었다. 그러나 요즘은 지식사회, 한 사람 한 사람의 창의성과 몰입이 중요한 사회다. 한마디로 사람 가동률이 중요한 시대다. 기업들도 코칭이나 멘토링처럼 개인에게 관심을 쏟는 HR 기법에 신경을 더 많이 써야 한다. 리더들도 부하 직원 한 명 한 명이 어떤 비전과 고민, 어려움이 있는지 세밀하게 관찰하고 도움을 줘야 한다. 그래서 자신과만 대화할 것이 아니라 남과 대화하는 것도 어렵지 않은 사회. 이것이 미래 모습이기를 바란다.
조미나 IGM(세계경영연구원) 상무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