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러시아와 손잡고 '합작회사' 세운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수원=이영규 기자】경기도와 러시아가 공동으로 합작회사를 설립한다. 또 기계·IT 등 공학분야 상호협력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러시아를 방문 중인 김문수 경기도지사(사진)는 24일(현지시각) 러시아 기술공사의 알료신 알렉세이 블라디스라보비치 제1부회장을 만나 러시아 기술공사와 도내 중소기업이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데 협력키로 합의했다. 합작회사 설립 협약식은 25일(현지시각) 진행된다.

김 지사는 "러시아의 수준 높고 다양한 첨단 원천기술이 사장되지 않고 상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경기도가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이번 협약이 한국과 러시아의 우호친선관계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김 지사는 이날 오전 11시(현지시각) 모스크바 소재 바우만 공과대학에서 이반 알카하로프 국제부 부총장, 최준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총장과 3자 간 '기술협력 파트너십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협약에 따라 '러시아의 MIT'로 불리는 바우만 공대는 대학이 보유한 첨단 원천기술을 도내 유망 중소기업에 전수하고 도내 중소기업은 이 기술을 활용해 상품화할 예정이다.


한국산업기술대학은 바우만 공대와 협력,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합작회사 설립을 추진하게 된다.


182년 전통의 바우만 공과대학은 전기ㆍ전자ㆍ광학로봇 등 공학분야를 선도하면서 다수의 노벨과학상과 9명의 우주비행사를 배출한 세계적인 명문대다.


이날 MOU 체결식에는 지난해부터 바우만 공대와 기술협력을 추진해 온 경기도 소재 중소기업 미루시스템과 마루LSI도 참석했다.


미루시스템은 스마트폰 재료연구 진행을, 마루LSI는 바우만 공대의 기술로 나노 두께의 광학 측정기 센서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바우만 공대의 이반 알렉세비치 부총장은 "ITㆍ기계 등 공학 분야의 과학적 협력을 통해 기술의 상용화와 상품화하는데 경기도와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경기도가 기술협력을 희망하는 분야의 목록을 작성해 제출하면 즉시 협력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