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파워女星①]김정미 제일모직 상무 "난 장미꽃이 아니다"

시계아이콘05분 3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대한민국 사회에서 '유리 천장'이 서서히 깨지고 있다. '여성 임원 1세대' 시대가 태동하고 있다. 1980년대 입사한 신입 공채들이 '별'을 달기 시작했다. 이른바 '여풍(女風) 시대'의 개막이다.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 에이드리엔 멘델은 <유능한 여자는 많은데 왜 성공한 여자는 없을까>라는 저서에서 직장 생활에는 여자가 모르는 불문율이 분명 존재한다고 말한다. 멘델은 유능한 여성은 많은데 성공하는 여성이 적은 이유로 "여성이 목표지향적인 남성 사회의 룰을 모른 채 모든 사람에게 사랑을 받으려는 관계지향적 태도를 지녔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그는 비즈니스라는 게임에서 이기려면 유능한 척, 강한 척하고 재미가 없어도 중간에 그만두지 말고, 감정을 개입시키지 말고, 필요하면 싸우고, 팀의 일원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남녀를 불문하고 우리나라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꿈을 꾸는 삼성의 별(임원). 불과 5년 전만 해도 상상을 현실로 바꿀 수 있는 주체는 남성이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신경영을 선포한 1992년 당시부터 '여성 중용'을 강조했지만 사실상 조직은 남성 문화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지난 연말부터 삼성의 분위기는 확 달라졌다. 1993년 처음으로 뽑은 대졸 여성 공채 직원이 별을 달기 시작하면서부터다. 삼성의 여성 공채 1기가 상무로 진급한 사실은 상징적인 의미가 매우 컸다. 말 그대로 유리 천장에 금이 가기 시작한 신호탄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한 조직에서 오랜 시간 몸담으며 남성과 당당히 경쟁해 살아남고 인정을 받으며 승승장구하는 그들. 유리 천장을 과감히 깨트린 여성 임원의 눈으로 바라 본 세상은 어떠할까. 지금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겪은 파란만장한 그녀들의 인생 스토리. 20~30대 새내기 여성 직장인 후배들에게 들려주고픈 대한민국 여성 임원들의 생생한 경험담을 전한다.<편집자주>


[파워女星 임원 꿰찬 1세대 그녀들의 Success Diary]
①김정미 제일모직 상무
난 장미꽃이 아니다 살아남는 찔레꽃 人生이다
여자 동기 100여명 중 유일한 생존자..삼성 공채 출신 첫 여성 임원시대 열어
남자들 체력·정신력 모두 더 강해..과도한 의욕 버리고 지치지 않는 게 노하우

[파워女星①]김정미 제일모직 상무 "난 장미꽃이 아니다" 김정미 제일모직 상무 ▲1970년 대구 ▲경화여고, 서울대 경영학 ▲삼성물산 영캐주얼팀, 제일모직 KUHO 팀장ㆍ레이디스사업부장 ▲제일모직 패션사업2부문 레이디스사업부 상무
AD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인터뷰는 약속했던 시간을 훌쩍 넘겼다. 장장 2시간50분. 시간 가는 줄 모른다는 말이 딱 들어맞았다. 목이 바싹 탔다. 자리를 옮기면서까지 많은 대화를 나눈 것은 '여성'으로서 갖는 공감 때문이 아니었을까.


그것도 일을 하는 여성, 자기 일을 사랑하는 여성이라는 데 호흡을 함께 하는 느낌. 한 조직(삼성그룹 내 제일모직)에서 20여년을 지내고 '별(임원)'을 달게 된 지난 세월과 초등학교 6학년인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들려주는 산 경험에는 귀가 먼저 움직였다.


서울 종로구 수송동 제일모직 빌딩 1층 카페 일모(ILMO). 일찍 도착했는지 그는 한 편에 마련된 회의실에서 전화기를 붙들고 있었다. 대화 끝 무렵에서야 신규 브랜드 론칭 준비로 한창 정신이 없을 때라고 말했다.


본지에서 기획한 '파워女星' 인터뷰의 첫 문을 김정미(42) 제일모직 상무가 열었다. 1993년 삼성물산으로 입사한 그녀는 대한민국 1등 기업 삼성에서 공채 출신으로 지난 연말, 첫 여성 임원 시대를 연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김 상무는 다짜고짜 새내기 여성 직장인에게 쓴소리부터 뱉었다. 온화한 말투였지만 꾸짖음에 가까웠다. "소위 말하는 요즘 애들은 짜인 틀에서 스펙을 쌓고 대기업에 입사하지만 정작 직장 생활에서는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부적응하는 경우를 많이 봤어요" "조직 생활에서는 스펙보단 또 다른 퀄리티가 필요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지표로 자신을 과도하게 포장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일찍이 거품을 뺄 수 있었던 건 대학교에 입학할 당시의 '충격' 덕분이다. 대학교에 입학한 뒤 신입생 오티(오리엔테이션)에 갔는데 강남 압구정 출신의 한 남학생이 정색을 하면서 이렇게 쏘아붙였다. "여자애가 (서울대) 경영학과를 왜 왔느냐. 너 때문에 똑똑한 남자애 한 명이 떨어졌다. 훗날 나라의 경제를 짊어질 잠재력 있는 남자가 떨어졌잖아!" 그는 '사람들의 생각이 나와는 많이 다를 수 있구나'를 처음 깨달았다. "그러면서 오기가 생겼죠. 앞으로 살면서 절대 쓸모없는 사람이 돼서는 안 되겠다고."


◆한 조직서 최소 10년은 버텨라


진로를 고민하던 대학 4학년 마지막 학기. 주위에선 상당수가 사법ㆍ행정 고시나 회계사, 교수의 길을 택하기로 했지만 왠지 싫었다. 그러던 어느 날 조동성 교수의 '장미꽃과 찔레꽃 인생'이란 주제의 강의를 듣고선 인생의 큰 틀을 정했다고 한다.


내용은 이랬다. "인생에는 두 가지 길이 있다. 장미꽃 인생은 젊을 때부터 화려하고 촉망을 받아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살겠지만 언제 시들어 버릴지 모른다. 반면에 찔레꽃은 겉은 화려하진 않지만 은은한 향기가 있고 생명력이 강한 데다 만인이 편안하게 생각하는 독특한 매력을 지녔다."


스승의 가르침은 1993년 삼성물산을 선택한 계기와 지금껏 삶을 사는 데 있어 버팀목이 됐다. 김 상무는 "선택 받는 (수동적) 여인보다는 같이 가는 (능동적) 삶을 택하고 싶었다"며 "대기업 취업 기피가 심했던 당시 삼성물산에 지원한 하나의 이유였다"고 회고했다.


김 상무는 삼성그룹에서 뽑은 여성 공채 1기다. 1993년 삼성물산으로 입사해 제일모직으로 터를 옮겨 지금에 이르렀다. 당시 함께 입사한 여성 동기가 100여명이었는데 유일무이하게 살아남은 '여장부'로 통한다.


하루는 이런 일이 있었다. 입사 선배인 여자 과장이 심각한 표정으로 커피숍으로 불러내고선 하는 말. "정미씨, 혹시 담배 피워요? 그렇게 소문이 났는데 맞아요?" 김 상무는 비흡연자이지만 근거 없는 루머가 너무도 황당해 "네! 맞아요"라고 대답할까 고민을 했다고 한다. 그만큼 조직 내에서 여성이 드물었고 관심의 대상이었던 때다. 그는 "주변에서 나를 특별한 존재로 볼 수 있겠다는 걸 처음 실감했고 여성의 신분으로서 매사 신중하고 잘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털어놨다.


1990년대 초반 일찍이 '여성 중용'을 강조했던 이건희 회장의 경영 방침에 따라 김 상무 이후로 대졸 출신 여성 직원이 눈에 띄게 늘었다. 하지만 많이 뽑은 만큼 그만두는 여성 숫자도 늘어만 갔다. '담배 소문' 사건처럼 여성 동료를 대하는 직장 내 문화가 형성되지 않았던 탓이 컸다.


김 상무는 "조직에서는 능력도 중요하지만 1차적으로는 적응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한데 남녀 사이에 문화적 혹은 업무적인 갈등이 있었다"고 들려줬다. "아무래도 남성 중심의 문화가 자리 잡은 상황에서 여성은 눈치껏 낄 자리를 가려야 했던 시절이었고 그것이 중간에 커리어를 중단하게 되는 이유가 됐을 것이다. 스펙도 좋고 똑똑한 여성 직원을 뽑았지만 어떻게 다뤄야 할지 어떻게 조직원으로 융화를 시켜야 할지를 윗분들조차 잘 몰랐던 때였다"고.


내년이면 입사 20년이다. 그는 과감히 말한다. "최소 10년은 버텨야 조직 내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성과를 맛볼 수 있다"고. 김 상무는 "어느 곳에 있던 애티튜드(태도), 일과 조직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것이지, 여기에서 이만큼 경력을 쌓았으니 직장을 옮겨서 이걸 해보고 저걸 해보고 한다면 향후 한 조직의 임원이 됐을 때 그 조직의 핵심 문화나 경쟁력, 조직만의 노하우를 알기 어려운 것 같다"고 했다. '이 길이 아니다' 싶은 생각이 든다면 고집스럽게 한 곳에 있으라곤 못 하겠지만 스펙 쌓기로 옮겨 다니는 것은 긍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


"신입으로 들어와 뭔가를 쌓았다고 하려면 적어도 10년 정도 지나야 내공이 생긴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요. 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면서 성취감을 느낄 때까지 인내심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파워女星①]김정미 제일모직 상무 "난 장미꽃이 아니다"


◆선택에 후회는 없다. 남과 비교도 않는다


패션과 인연을 맺을 줄은 몰랐다. 특히 삼성물산에 입사할 당시 원했던 파트(부서)는 해외 업무였다.


"부모님 말씀에 따라 법대를 갔어야 했나 고민을 했어요. 인생이란 게 매사 의사결정의 연속인데 선택에 대해 뒤돌아볼 순 있겠지만 후회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내가 선택한 것에 미련을 두면 남과 내 삶을 자꾸 비교하게 됩니다. 선택한 현실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러던 사이 인턴 생활과 함께 안양에 있는 공장에서 미싱(재봉틀)을 돌리는 현장 실습을 시작하게 됐다. 신사복 한 벌을 만드는 전 공정에 20대 후반 여성 신입 직원이 투입된 것이다. 김 상무는 "새로운 경험이었다. 좋은 대학과 부모님 밑에서 편하게 살면서 지내다 18~20살 정도 되는 어린 친구들이 일하는 모습을 보고선 또 다른 세상이 있구나를 느꼈다. 그들과 인간적으로 가까워지고 너무도 재밌는 시간을 보내게 됐다"고 전했다.


공장 다음으로 3개월씩 실습을 했던 백화점과 직영점에서는 제일모직과 평생 연을 같이 할만한 결정적 느낌을 받게 됐다. 특히 선택한 길에 대해 후회하지 않고 현실에만 매달리다 보니 또 다른 기회가 계속 찾아왔다고 했다.


"압구정 매장에서 숙녀복을, 명동 직영점에서는 캐주얼을 팔았는데 처음에는 살짝 창피했어요.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현장에 있는 선배들의 프로페셔널한 모습에 반했고 판매 팁을 얻으려고 도시락을 싸가기도 했고 나름의 조직의 룰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죠."


앞만 보고 달리는 실습생이던 어느 날, 발령이 났다. 동기들보다 조금 빨랐던 시기다. 여성으로만 구성된 영업 조직을 꾸리는데 막내로 합류하게 된 것이다. 당시 신여성의 기질을 가졌던 같은 팀의 사업부장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전설의 여성 부족의 패기를 닮으라며 "너희는 아마조네스다!"라고 말하곤 했다.


선택에 대해 후회를 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아주 힘든 선택을 했던 시기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남편이 중국 주재원으로 발령이 나던 때다. 김 상무는 마침 '구호'팀을 처음으로 맡게 됐다. 구호 브랜드가 어렵던 시기 구원투수로 새로운 미션을 맡게 되자 그가 결국 선택한 것은 기러기 부부. 7년 이상을 떨어져 지내면서 힘든 적도 많았지만 지금 돌이켜 보면 결정을 후회하진 않는다고 한다. 김 상무는 "선택에 심각하게 후회를 하거나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미련은 결국 현실에 대한 불만족으로 나타나게 된다"며 "결정한 현실에서 최선과 열정을 다 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육아는 어려웠다. 본인이 '퍼펙트 슈퍼맘'이 아니라는 것도 누구보다 잘 아는 그다. 대신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이 분명히 있다고 선을 긋는다.


"못하는 것은 깔끔하게 포기를 하지만 능력 내에서는 아이에게 사랑을 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예를 들어 숙제를 봐주지 못하고 준비물도 꼼꼼하게 챙겨주진 못하지만 포옹을 많이 하고 시간이 날 때마다 사랑한다는 말을 해요. 아이가 4~5살 무렵이 되고 말이 통하기 시작하면 출근길에 바짓가랑이를 잡고 늘어지는데 뿌리치고 나가는 마음이 너무 아팠어요."


◆강인한 체력과 자기 관리는 필수


인터뷰 동안 김 상무가 '남성'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 것은 딱 두 차례다. 첫 번째는 남편에 대한 이야기였고 두 번째는 동료로서, 경쟁자로서 남성에 대해 느낀 소회다. 특히 남편과 가족에 대한 언급은 최대한 자제하려는 듯했다. 가족에 대한 배려와 보호 본능이 아니었을까.


김 상무는 "강인한 체력이 정말 중요하다"며 "남자들은 육체적 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여성보다 훨씬 강인하다고 인정한다"고 말했다. 그래서 그가 입버릇처럼 여자 후배들에게 하는 말이 "끼니는 절대 거르지 말고 밥 잘 챙겨 먹어라"다. 야근이 많은 패션업 특성상 대충 요기만 하는 여직원을 볼 때마다 언성을 높여가면서 나무랄 정도다.


또한 초반에 과도하게 의욕을 부릴 필요도 없다고 늘 조언한다. 지치지 않는 것도 경쟁력이라는 것. 보통 여성들은 인적 네트워킹이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이유에서 초반 에너지를 쏟다보면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를 많이 봤다는 이유에서다.


김 상무는 "업무는 물론 직장 및 가정생활에서는 지속성과 일관성이 중요하다"며 "한 번 잘하는 것보다는 브랜드의 정체성과 정책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과도하게 의욕이 넘치면 지속적인 만족도는 떨어지게 마련"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항상성을 강조했다. "찔레꽃 인생은 장기전이고 언제 빛을 발할지 아무도 모르는 거 아닌가요?"




김혜원 기자 kimhy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