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대지진 1년, 일본의 변화와 한국경제

시계아이콘01분 02초 소요

오는 11일로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지 1년이 된다. 그동안 우리 경제가 반사이익을 누려 온 점은 수치로 입증된다. 지난해 대일(對日) 수출이 늘고 부품 수입이 줄어듦에 따라 대일 무역수지가 전년보다 75억달러 개선됐다. 자동차ㆍ반도체 등 일본과 경쟁하는 수출기업의 세계 시장점유율과 경쟁력이 높아졌다. 일본 내 서플라이 체인(부품 공급망)이 무너지고 전력난이 심해지자 일본 기업의 한국 투자가 증가했다. 원자력발전소 방사능 유출 사고 이후 목적지를 한국으로 돌린 여행객 덕분에 여행수지 적자도 감소했다.


일본이 지켜보고만 있을 리 없다. 기업들은 서플라이 체인 복선화와 생산거점 분산화로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 전기ㆍ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하는 한편 신재생에너지와 해외자원 개발 등 미래 유망산업에 눈을 돌리고 있다. 그래도 기업들의 해외진출 가속화에 따른 산업공동화 우려, 전력난 심화, 재정 건전성 악화 등 리스크는 여전하다. 이런 일본 경제와 산업의 변화는 여러 분야에서 경쟁하는 우리에게 기회이자 또 다른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 조사에 따르면 대지진으로 피해를 본 기업의 42%가 복구 이후에도 해외에서 계속 부품을 공급 받겠다고 응답했다. 일본 제조업체의 투자 선호도는 중국, 인도, 태국, 베트남 순서로 높고 한국은 대만에 이어 10위다. 일본 기업의 서플라이 체인 대체수요에 맞춘 국내 투자유입 촉진 전략이 요구된다.


한국이 누리는 반사이익은 한시적이다. 기업들이 체제를 정비해 감에 따라 일본 업계와의 경쟁은 격화될 것이다. 이미 도요타ㆍ닛산 등 자동차 메이커들이 미국ㆍ한국 시장을 겨냥해 대반격에 나섰다. 신흥국 시장 진출과 신흥국 기업의 인수합병(M&A) 과정에서 일본 기업들과의 경쟁 또한 심해질 것이다. 세계적으로 탈(脫)원전이 가속화하는 마당에 우리 정부의 원전 중심 국가 전력정책이 지속 가능한지도 고민해야 한다.

글로벌 경제 현실은 냉정하다. 대지진 이후 변화를 잘 살펴 국내 기업의 비교우위를 지속시키는 대응 전략을 짤 때다. 지금보다 나아지려면 스스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집안 사정으로 공부하지 못한 친구 때문에 등수가 올라갔다고 실력이 좋아진 게 아니다. 때로는 서로 도우며 진짜 내 실력을 키우는 게 중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