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SKT, 와이파이 통합형 LTE 펨토셀 개발..'세계 최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3G 대비 최대 5배 빠른 데이터 서비스 제공..음영지역 등 최소화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SK텔레콤(대표 하성민)은 27일 롱텀에볼루션(LTE)와 와이파이(Wi-Fi) 서비스를 하나의 장비에서 제공하는 'Wi-Fi 통합형 LTE 펨토셀'을 세계 최초로 개발·완료했다고 밝혔다.


펨토셀이란 실내 음영지역 개선과 함께 소규모 지역에서 집중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개발된 초소형 기지국이다. 가입자당 제공받을 수 있는 데이터량을 늘려 고속·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비다.

이번에 개발한 Wi-Fi 통합형 LTE 펨토셀은 SK텔레콤이 고속 네트워크 시대에 더 나은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페타(PETA) 솔루션이 적용됐다. 동일 장비에 LTE 펨토셀과 Wi-Fi 접속장치(AP)가 구성돼 장비 운영·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 회선을 이용해 데이터와 전원을 함께 전송할 수 있는 전력망통신(PoE) 기술을 적용해 전원 확보가 어려운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SK텔레콤은 주파수간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고,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분리해 서비스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펨토셀의 적용 범위를 확대했다.


LTE펨토셀을 통해 소비자들은 기존 3세대(3G) 대비 최대 5배 빠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빌딩 내부 및 지하공간 등의 음영지역이 최소화돼 장소에 관계없이 고품질의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내년 4월까지 전국 84개시를 비롯해 LTE 서비스 수요가 있는 전국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LTE 망을 조기 구축할 예정이며 이후 LTE펨토셀을 활용해 서비스 품질을 높일 예정이다.


강종렬 SK텔레콤 네트워크(Network) 기술원장은 "SK텔레콤은 이미 100만개 이상의 중계기를 설치해 실내 및 지하 공간으로 LTE 서비스 범위를 확대했다"며 "LTE 펨토셀 추가 설치를 통해 서비스 품질을 더욱 높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LTE펨토셀 개발에 이어 고객의 쾌적한 데이터 통신환경을 위해 다양한 환경에 적합한 펨토셀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공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SK텔레콤은 지난 4월 3세대 이동통신망에 Wi-Fi 통합형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2FA 펨토셀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시킨 바 있다. 이에 앞서 2월에는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2011모바일월드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에 전시해 세계 통신 사업자로부터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용어설명)PETA=SK텔레콤이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망 운용 기술을 총괄하는 개념. 향후 1페타(PB) 시대에 최고 수준의 품질(Premium Quality), 탁월한 속도(Excellent Speed), 안정적인 망 운용(Total Stability), 앞선 기술(Advanced Technology)을 고객에게 제공해 차별화된 1등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




임선태 기자 neojwalk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