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굿모닝증시]이탈리아 전선이 무너지면…

시계아이콘02분 04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솔 기자]'총리 물러나면 좋아질까?'


이탈리아 총리가 전세계 주식 투자자들의 환호(?)를 속에 권좌에서 내려오게 됐다. 빚더미 위에 올라 앉아 있으면서도 경제 개혁안에 소극적이었던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가 사퇴 의사를 내비쳤다는 소식에 간밤 미국 증시는 일제히 올랐다. 다우 지수가 0.84% 오른 것을 비롯해 S&P500이 1.17%, 나스닥이 1.20% 상승 마감한 것. 베를루스코니 총리는 예산지출안 표결에서 과반수 찬성표를 얻지 못하자 사퇴 의사를 밝혔다. 사퇴 시기는 새로운 경제개혁안이 통과된 이달 중순쯤이 될 것으로 보인다.

9일 시장 전문가들은 이탈리아 총리 사퇴가 주식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이탈리아가 긴축 정책을 얼마나 강하게 밀어붙이는 지가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이탈리아 내부에서 경제 개혁안을 강력하게 추진한다면 유로존을 비롯한 국제 사회가 이탈리아 위기를 수수방관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상재 현대증권 경제분석부장=이탈리아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이탈리아 총리의 사임 표명으로 1차 관문을 통과했다. 이탈리아에 대한 우려는 유동성 부족 가능성 보다는 리더십 약화에 따른 경제개혁안 추진력 미흡에 기인한다. 총리의 사임이 이탈리아 채무 위기의 해소 계기가 되지는 못하겠지만 새 총리 의 경제개혁 추진력에 따라 개선될 여지는 생겼다.

한편 7~8일(현지시각) 열린 유로존 및 EU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재원 확충 방안을 합의하지 못한 채 마무리됐다. 연말 주식시장에서 위험자산 선호가 본격화되기 위해서는 이탈리아 국채 수익률의 하락 전환, EFSF 재원 확충 관련 청신호, 미국경제의 회복세 지속 신호, 중국 정부의 선제적 금융완화조치 가시화 등 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김세중 신영증권 투자전략팀장=위기가 그리스를 넘어 이탈리아로 옮겨가면서 이탈리아 국채 수익률이 6.5%를 넘었다. 그리스를 비롯한 유로존 위기 국가들은 국채 수익률이 7%를 넘어선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구제금융을 받았었다. 이탈리아 정권의 개혁의지가 지금처럼 말 뿐이라면 시장의 신뢰를 잃으면서 국채 수익률이 7%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이탈리아의 국채 규모는 1조6000억유로로 그리스의 4배다. 프랑스 은행들이 특히 이탈리아 국채를 많이 들고 있어 이탈리아 전선이 무너지면 위기는 프랑스로 이동, 유 럽 전체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 문제다. 내년 1분기에는 만기되는 이탈리아 국채는 올 4분기 보다 1.9배 많은 1188억유로다. 대규모 국채 만기가 예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탈리아가 금융시장 신뢰를 잃는다면 이탈리아 위기의 진행과정은 그리스, 파괴력은 리먼브러더스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탈리아가 긴축 프로그램을 강력하게 추진한다면 신뢰도를 제고하고 GDP대비 국가 부채 비율이 급등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이탈리아는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경제가 건실하고 경쟁력이 강한 기업들도 포진해있다. 주요 기업에서의 정부 지분도 많은 편이라 지분매각을 포함한 자구책도 마련할 만하다. ECB도 이탈리아 위기를 수수방관하지 않고 만약 이탈리아 국채 금리가 7%를 넘어서면 최종 대부자 기능을 할 것으로 본다. 적어도 EFSF가 레버리지 증액을 통해 국채 매입에 나서기 전까지는 ECB가 최종 대부자 역할을 자처할 것으로 예상한다. 유럽 위기가 이탈리아, 프랑스로 옮겨가지 않는 한 한국 증시의 하락 리스크는 크지 않다.


◆한범호·이선엽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이탈리아의 정치적 리더십이 주식시장의 화두로 떠올랐다. 리더십 추락은 국채 금리 급등을 불러와 위기의식을 자극할 수 있어서다. 그러나 유로존에서는 신용위험 부각을 막기 위해 방어벽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으며 유럽중앙은행(ECB)의 국채 매입 규모도 지난 주 재차 확대됐다.


이탈리아의 경우 아직 정상적으로 자금 조달을 하기 어려운 수준까지는 아니다. 이탈리아 10년물 국채 금리가 10월 말 6%를 웃돌면서 긴장감을 고조시켰지만 구제금융을 받은 그리스와 아일랜드, 포르투갈의 경우 10년물 국채 금리가 8%를 웃도는 수준까지 갔었다. 이탈리아 국채는 유럽 국가들 이외에도 미국, 일본 등에서도 들고 있어서 재정 건전성 논란의 파급력을 알고 있는 전세계 주요 국가들이 후속 대책을 빨리 내놓을 가능성도 높다.


실적 기대감이 유지되고 있는 반도체, 스마트폰, 자동차 및 부 품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중국 긴축 정책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개별 수혜주를 잘 따져보고 접근하는 게 좋겠다. 글로벌 경기에 대한 불 안심리가 여전한데다 중국 소비확대 정책은 앞으로 5년간의 시간을 두고 효과를 발휘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솔 기자 pinetree1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