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1국감]새마을금고 17.4%, ‘경영부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전국 새마을금고 1479개 가운데 17.4%가 경영부실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윤상일(미래희망연대)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경영개선조치를 받은 새마을금고수는 평균 257개로 조사됐다. 지난해말 기준 전국 새마을금고 1479개 중 17.4%가 부실상태에 빠진 셈이다.

또한 새마을금고에서는 최근 5년간 횡령, 불법주식투자손실, 부당지급보증 등 총 19건 560억원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이중 이사장 및 임원에 의한 사고는 총 11건 413억에 달했다.


문책 이상의 징계현황을 보면 2008년부터 2010년 3년간 임원이상 269명, 직원 709명 등 총 978명이 징계를 받았다. 금품수수, 부당대출 및 여신관리 소홀도 312명으로 전체 징계인원의 31.9%나 됐다.

이밖에 최근 5년간 당기 순손실이 발생한 금고도 2006년부터 2011년 상반기까지 평균 235개로 평균 손실 금액은 1300억원을 넘었다.


윤 의원은 새마을금고의 부실 경영 원인을 인적자원에 대한 리스크 관리 부실을 꼽았다. 현행 규정상 4년 임기 3번 중임이 허용돼 10년 이상의 장기 지배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실제 10년이상 재임한 경우도 올해 8월 기준으로 전체의 31.8%인 463명이나 됐다.


이에 윤 의원은 “전반적으로 경영 및 금융 비전문가인 이사장이 새마을금고의 업무를 통할하고 있는 만큼 수익을 내지 못하거나 새마을금고 이사장이 부실하게 운영하는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 서민들에게로 전가된다”며 “비조합원의 이사회 선임, 사외이사 또는 독립이사의 확대 등 이사장을 견제할 수 있는 이사회의 전문성 강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