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공무원 1인당 주민수 3686명..전국 최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이영규 기자]경기도 공무원들의 1인당 담당 주민수가 3686명에 달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반해 상위 직급 편제는 인구 110만의 울산광역시나 8개 도(道)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공무원들이 과중한 업무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경기도의회 송순택 의원(민주ㆍ안양6)은 16일 제261회 임시회 5분발언을 통해 "인구와 면적에서 서울특별시보다 월등한 경기도가 서울시보다 적은 공무원 수와 하위 직급의 조직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부산시보다 일반직 공무원이 850명이나 적고, 2급이상 직급수가 같은 믿지 못할 상황이 현재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특히 "전국 최대 행정수요를 감당하는 경기도가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최하위권의 조직편제를 갖고 있다"며 "실장, 국장, 과장의 직급을 규정한 조항을 보면 인구 110만이 조금 넘는 울산시와 1250만의 경기도가 상위직급 체계가 똑같다"고 강조했다.


송 의원이 이날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내 공무원 수는 소방공무원을 제외하고 지난해 말 기준 3218명. 이에 반해 도민은 1178만6622명. 경기도 공무원 한 명이 3686명의 도민을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반해 인구가 경기도보다 적은 서울특별시는 1만259명의 공무원이 1031만2545명의 시민들 담당하고 있어 공무원 1인당 주민수는 1003명에 그치고 있다.

시도별 공무원 1인당 주민수를 보면 부산 876명, 대구 794명, 인천 691명, 광주 730명, 대전 721명, 울산 685명, 강원 823명, 충북 1027명, 충남 1128명, 전북 1072명, 전남 1021명, 경북 1319명, 경남 1604명 등 경기도보다 담당 주민수가 훨씬 적다. 그만큼 경기도내 공무원들의 담당업무가 많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 같은 열악한 상황속에서도 경기도 공무원들은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송 의원은 "서울시는 실장과 본부장이 1~2급이고, 국장이 2~3급인데 반해 경기도는 1급은 없고 실국장이 모두 2~3급"이라며 "이 같은 경기도의 상위직급 편제는 인구 110만의 울산시는 물론 8개 광역도와 똑같다"고 지적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