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AIST, 특허사무소 통해 지적재산권 관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3초

산학협력단, 연구결과와 사업화 위해 20개 특허사무소 지정…인터뷰제, 유망기술 발굴 등 업무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KAIST(총장 서남표)가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한 지적재산권 관리에 들어갔다.


KAIST 산학협력단(단장 장재석)은 KAIST 연구결과의 권리화와 사업화 업무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최근 20개의 전담특허사무소를 정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14일 밝혔다.

KAIST는 기술개발자 및 발명자에 대한 서비스 강화로 우수한 지식재산권 창출과 활용을 위한 바텅을 다지고 능력과 열의가 검증된 전담특허사무소를 통해 효율적·체계적인 특허관리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전담특허사무소에선 발명자인터뷰, 기술상담, 선행기술조사, 기술평가 등으로 우수한 특허를 빨리 찾아내고 특허의 기술이전과 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각종 지원활동을 한다.

또 발명자인터뷰제사업, 발명동아리사업, 유망기술발굴사업 등에 대한 업무협력도 맡는다.


장재석 KAIST 산학협력단장은 “출원 전 발명자와 활발한 기술상담 및 평가를 통한 특허출원으로 뛰어난 지적재산권을 앞당겨 확보할 수 있는 바탕을 다지게 됐다”고 말했다.


장 단장은 또 “더 많은 기술이전 맞춤형기술을 찾아내고 특허도 출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KAIST는 특허청이 최근 발표한 국내 216개 대학의 2006~2010년 5년간 특허출원 현황조사에서 4403건을 기록해 1위를 했다. 또 19개 기술분야별로 분석한 조사에서도 정보통신, 전기소자·반도체, 전자회로, 차량, 무기화학 등 9개 분야에서 가장 많은 특허출원을 해 종합부문 으뜸을 차지했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