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고령층 '물가부담' 타 연령층보다 높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고령화 추세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고령층의 물가상승 부담이 타 연령층보다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LG경제연구원은 28일 '고령층 물가상승 부담 높아졌다' 보고서를 통해 "지난 1년간 고령층 물가상승률은 5.2%로 전체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며 "물가상승 및 실질소득 감소 추세에 더해 실업률까지 높아져 고령층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고령층 '물가부담' 타 연령층보다 높아" 물가상승률 추이
AD

보고서를 작성한 이혜림 선임연구원은 "고령층 물가상승률이 타연령층보다 높은 이유는 고령층 소비의 가장 큰 비중(약20%)을 차지하는 식료품 가격상승이 주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국제 원자재 가격 및 곡물가 상승 추세는 최근 들어 거세지고 있어 지난 1년간 식료품 물가상승률은 전체 물가상승률보다 훨씬 높은 11.5%를 기록했다"며 "국제 농산물 수급 불안으로 인해 곡물가격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상 한파로 인한 채소가격 폭등까지 겹치면서 이들 품목을 많이 소비하는 고령층에게 더욱 큰 타격을 입힌 것"으로 풀이했다.

고령층의 상대적 물가상승 부담이 타연령층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아진 이유로 IT혁명으로부터 소외되었다는 점도 지적됐다. 이 연구원은 "젊은층이 기술발전에 따른 할인혜택을 많이 입은 반면, 디지털카메라, 비디오, 스포츠장비 등 기술집약적 내구재 소비가 적은 고령층은 이 효과가 덜 반영됐다"고 언급했다.


또한 이 연구원은 "고령층이 실제로 느끼는 체감물가는 앞서 산정한 물가상승률보다 더욱 높을 수 있다"며 "유통혁명에서도 혜택을 덜 받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형할인매장의 반값세일, 1+1 증정행사나 인터넷쇼핑몰의 공동구매와 같은 행사는 실제 구입가격을 크게 낮추지만, 집 근처 슈퍼마켓이나 영세한 가게를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이러한 할인혜택은 미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고령층 '물가부담' 타 연령층보다 높아" 항목별 물가상승률

이 연구원은 "물가상승 및 실질소득 감소 추세에 더해 실업률까지 높아져 고령층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우리나라에서도 고령층의 삶의 질 보장을 위해 물가상승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주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령자 일자리 창출, 적극적 취업알선 및 취업지도 등 고령층의 임금 및 소득수준을 높일 수 있는 대책은 물론, 고령층이 실제 부담하는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고령층의 실질소득 및 소비여력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조슬기나 기자 seu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