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오세훈, 주민투표 결과에 시장직 걸기로(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7초

[아시아경제 정선은 기자]오세훈 서울시장이 주민투표 결과에 시장직을 걸기로 했다. 투표율이 33.3%에 미달해서 투표함을 열지 못하거나 투표가 성사돼도 서울시 안과 다를 경우 모두 책임을 지겠다는 의미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1일 오전 10시 시청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24일 치러질 주민투표 결과에 '시장직'을 걸어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작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의회의 4분의 3, 구청장의 5분의 4를 민주당에 주시고도 서울시장직만은 제게 유임해 주심으로써 제 정책의 연속을 믿고 지지해주신 시민 여러분의 엄중한 뜻을 저버리게 되는 것은 아닌가 스스로 두렵기 까지 했다"며 주민투표 결과에 시장직 연계 배경을 밝혔다.


복지정책에 대한 정책 소신도 강조했다. 오 시장은 "220억원이면 희망플러스 통장으로 저소득층 3만 가구의 인생을 희망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지켜봤다"며 "자립.자활의 복지를 최우선으로 추구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오 시장은 "무조건적 퍼주기식 복지는 서울시의 복직 원칙과 체계를 송두리째 뒤흔드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결정의 후폭풍에 대해 말하기도 했다. 오 시장은 "7년전 잘못된 정치현실 바꾸자 국회의원 불출마선언 했다"며 "7년전 보다 절실한 마음이다. 오늘 이 결정이 예측불허의 수많은 후유증을 남길 수도 있다는 것을 알지만 인기영합주의의 빠른복지가 아닌 다음 세대 배려하는 복지로 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민주당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투표 불참운동에도 불만을 드러냈다.
오 시장은 "지난 선거에 이겼다고 해서 그것이 민의라고 강변하며 투표불참운동까지 벌이는 것은 역사에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당락을 좌우할 투표함을 열 수 있는 기준인 33.3%의 투표율에 대해 언급하며 투표 참여를 요청했다. 오 시장은 "반드시 33.3% 투표율을 넘겨 시민 여러분의 엄중한 뜻이 어디에 있는지 확실히 보여 주는 계기가 돼야 한다"며 "24일 주민투표에서 지지정당, 이데올로기를 모두 떠나 서울의 유권자라면 누구나 소중한 한 표로 소신을 밝혀달라"고 당부했다.


다음은 오세훈 서울시장과의 일문일답.
- 시장직을 거는 기준은 무엇인가. 투표함을 열지 못할 경우, 투표 결과가 서울시 안과 다를 경우, 아니면 둘 다인지?
▲투표함이 33.3%가 안돼서 개봉 못하거나 투표율이 3분의 1에 도달해서 개함을 했는데 그 뜻이 제가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다면 책임을 지겠다. 이번 주민투표는 저는 원칙과 가치를 지켜내는 투표다. 이를 위해 희생이 따를 수 있다.


- 서울시장으로 두번 뽑아준 시민들에 대해 송구스럽다고 했는데. 최선의 선택?
▲서울시의 복지체제는 어려운 사람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일할 때 혜택이 많이 가도록 디자인. 그런데 전면 무상급식은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월 5만원씩 현금보조식으로 기존의 서울시의 자립.자활의 철학과 소신과 배치되는 복지체계. 이런 가운데
시장직을 계속 하는 것이 바람직한 가에 대해 고민해옴. 이점이 시장직 사퇴를 고민했던 이유.


- 주민투표 반대하는 측은 상응하는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나?
▲투표 불참운동 벌이는 진영은 역사 앞에 두고두고 책임질 것. 따로 언급할 필요가 없다. 주민투표나 국민투표가 있을 때마다 이번에 불참운동 벌였던 사람들은 곤욕스러운 상황에 처할 것. 두고두고 책임져야 할 것으로 확신.


- 사퇴시점은?
▲아직 말씀드리기 이르다. 아직 투표결과가 나오지 않았는데 마치 원치 않은 방향으로 나올 경우 가정한 것. 오늘은 큰 틀에서 투표와 관련해서 책임을 지겠다.


- 한나라당이 마지막 사흘 총력전 펼쳐줄 거라 믿는가.
▲여당에서 총력전을 펼쳐줄 것이라 믿는다. 33.3%에 달성하는 것은 쉬운 목표가 아니다. 특히 반대측에서 거세게 불참운동을 벌이는 과정에서 33.3% 달성하는 것은 어렵다. 한나라당이 함께 최선을 다해줄 것.


- 시장직 진퇴여부 한나라당과의 협의를 거친 걸로 봐야 하나. 아니면 오시장 단독인가?
▲그동안 당과의 조율과 협의로 이 결정이 다소 늦어짐. 지금까지 합의가 완전히 이뤄졌다고 할 수는 없다.




정선은 기자 dmsdlun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