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추석물가 잡는다"..직거래·사이버장터 확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 이영규 기자]경기도가 올해 장마 등 기상이변으로 추석용 제수용품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직거래 및 사이버장터를 활성화하고, 농산물 가격동향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등 농산물 수급안정에 발벗고 나선다.


17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겨울 저온현상과 최근 집중된 폭우로 인해 도내 농작물 침수 피해지역은 도내 전체 경작지 11만1516ha의 2.6%에 해당하는 2881ha에 달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품목별로는 벼와 채소류의 경우 지난 6월 20일부터 계속된 장마와 집중 호우로 일조량이 줄면서 수확시기가 지연되고 수확량도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과일 역시 지난해 겨울 저온 피해로 착과율이 낮고, 일조량도 부족해 상품의 당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출하되는 복숭아와 포도의 당도는 각 10°와 13°로 예년보다 2~3°낮고, 출하량 역시 지난해보다 30% 줄었다. 축산물도 예외는 아니다. 구제역의 여파로 돼지사육은 지난해에 비해 69.4%, 한우는 7.2%가 감소했다.


경기도는 이 같은 농산물 작황 수급변화가 추석을 앞두고 소비자들의 불안 심리를 키울 수 있다고 보고 농산물 수급과 농산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경기도는 우선 수해 농작물에 대한 조속한 복구를 추진한다. 침수된 벼로 인한 병충해 예방을 위해 항공방제 등 공동방역을 강화하고, 경기도 농업기술원과 농협 등 전문가로 구성된 현장기술지원단을 파견해, 시설채소와 과일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현장재배기술과 출하지도를 실시할 예정이다.


농축산물 공급 활성화를 위해 직거래 장터와 경기사이버 장터 활성화작업도 추진한다. 경기도는 수원과 성남, 안양, 부천, 고양 등 대도시 지역 농협을 중심으로 농특산물 직거래 장터를 개설해 추석 물가안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경기도가 운영하는 인터넷 농산물 장터인 '경기사이버 장터'에서는 농산물 공동구매(소셜커머스) 제도를 도입해 김치나 과일같은 생활민감 농산물을 20~30% 할인 판매하기로 했다.


이밖에 경기도 홈페이지와 경기사이버장터를 통해 농산물의 가격동향 및 분석정보를 제공, 소비자들의 합리적 소비를 유도하는 한편 고양과 성남, 수원에 있는 종합유통센터와 구리, 수원, 안양, 안산에 위치한 공영도매시장의 유통시스템을 수시로 점검 가격인상 분위기를 억제할 방침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농산물 가격 인상으로 추석물가가 들썩이는 일이 없도록 관련 기관, 도내 농업인들과 힘을 합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