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철하 CJ제일제당 대표 "호주서 곡물사업 추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김철하 CJ제일제당 대표 "호주서 곡물사업 추진"
AD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CJ제일제당이 치솟는 원자재 가격의 부담을 덜기 위해 호주에서 직접 곡물사업에 나설 계획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외형적인 성장을 위해 일본의 하야시바라 외에 추가적인 M&A(인수 합병)를 고려하고 있다.


김철하 CJ제일제당 대표(사진)는 12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전세계적으로 곡물자원 확보가 치열해 호주에서 곡물사업을 진행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우리나라는 에너지 분야에서 완전한 속국이고 곡물도 이와 비슷해 식품회사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곡물의 독립"이라며 "파트너사와 호주에서 곡물사업 진행을 논의 중에 있으며 곧 결론이 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직접 곡물을 재배하는 사업은 위험 부담이 커 시작부터 본격적인 확장에는 나서지 않고 검증을 거치는 단계적인 수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CJ제일제당이 호주에서 생산을 검토하고 있는 곡물은 사료와 식품 원료 및 바이오 에탄올의 원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타피오카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근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일본의 식품첨가제 제조회사인 하야시바라(Hayashibara) 이외에도 추가적인 M&A도 계속할 것임을 밝혔다.


김 대표는 "자체적인 해외 진출과 외부 기업의 인수 등 두 가지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성장동력을 위해 필요하고 기회가 있다면 하야시바라의 경우처럼 적극적으로 해외 기업 인수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대한통운 인수와 관련 주주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전혀 그럴 일이 없다"며 일축했다.


그는 "현재 갖고 있는 무수익 자산을 유동화해서 얻는 이익은 물론, 대한통운 인수를 통해 현재 지출하고 있는 물류비 3000억원이 절약되고 또 대한통운이 이익을 내면 또 이득을 얻을 수 있다"면서 "현금 흐름에도 전혀 문제가 없어 대한통운 인수를 통해 CJ제일제당의 주주 가치가 더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통운 인수로 인해 신규 M&A 자금이 부족하지 않냐는 질문에 대해선 "현재 삼성생명 주식 460만주와 가양동 토지, 영등포 공장부지 등의 매각을 통한 현금 유동성 8000억원 등 충분한 자금을 보유해 대한통운 인수는 물론, 추가적인 사업 진행에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정책 방향이나 식품 가격 인상에 관해서는 조심스럽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김 대표는 "상황에 따라서 왜곡돼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실수가 있었다면 반성해야 한다"면서 "대답하기 곤란하지만 개인적으로 시장 원리대로 갔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원가 부담이 너무 커 가격 인상에 대한 부분은 계속 고민 중이지만 현재로선 가격 인상 계획이 없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CJ제일제당의 첫 'R&D기술전문가' CEO가 된 김 대표는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경영자로서의 자질 문제에 대해 솔직한 속내를 털어놨다.


그는 "오늘로 대표이사 자리에 오른 지 딱 2개월이 됐다"면서 "R&D만 하면 경영 부문에 있어서 약하지 않을까란 외부의 우려를 자신도 들었지만 제조업이기 때문에 기술전문가가 경영을 하는 것이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적으로 기술에 대해 모르는 경영자보다 훨씬 잘 할 수 있는 자신이 있다"면서 "열정을 갖고 일에 임하고 덕으로써 임직원들을 이끄는 것이 경영철학"이라고 덧붙였다.




조강욱 기자 jomaro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