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최근 식품업계가 정부의 기업 때리기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의 주범으로 몰리면서 연일 담합 의혹과 세무조사로 인해 생존 자체에 대한 위협을 받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이에 따라 식품업계에서는 장사를 하지 말란 얘기냐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사정을 이해한다고 해도 그 동안 관행처럼 계속 이어져 온 담합의 혐의에서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식품업계는 관련 업체들의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1위 업체가 가격을 올리면 나머지 기업들이 이를 따라가는 형식으로 제품 가격을 인상해왔습니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27일 서울우유, 매일유업, 남양유업, 동원데어리푸드 등 치즈업체 4개사에 대해 가격담합을 이유로 과징금 106억원을 부과했습니다.
이들 업체들은 '유정회' 치즈업계 간 모임을 통해 지난 2007년부터 치즈가격 인상을 합의해왔습니다. 또 농심의 신라면 블랙도 출시한 지 두 달 만에 허위ㆍ과장 광고라는 판정을 받아 공정위로부터 1억5500만원의 과장금을 부과받았습니다.
이에 앞서 19일에는 고추장 행사제품의 할인율을 약 30%로 담합한 CJ제일제당과 대상에 10억이 넘는 과징금이 부과됐으며 지난달 1일에는 오뚜기가 대리점들에게 마요네즈, 당면, 참기름, 국수 등의 판매가격을 미리 정해주고 이 가격 아래로 팔지 못하게 통제한 혐의로 과징금 6억5900만원을 물게 됐습니다.
이와 함께 지난 2월 27일에도 정식품과 삼육식품, 매일유업 등 두유업체 3곳이 가격 담합혐의로 과징금 131억원을 내게 됐습니다.
식품업체들은 정부의 팔 비틀기가 도를 넘어섰다고 주장합니다. 소비자와 밀접하면서도 업계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자신들이 매번 '동네북'이 되고 있는 것이라는 불만이죠.
물론 이 같은 불만이 전혀 터무니없는 얘기만은 아닙니다. 최근의 국제 원부자재가 급등으로 인해 원가 부담이 커지면서 올해 1분기 대다수 식품업체들의 영업 이익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그들만의 리그'를 형성하며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은 채 슬그머니 가격을 올리는 관행은 없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눈 가리고 아웅'식의 담합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정당한 경쟁을 통해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할 때입니다.
조강욱 기자 jomaro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