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지방 부동산 양극화에 LH-SH공사도 '희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53초

"살았다" 가슴 쓸어내린 LH, "어쩌나" 끙끙 앓는 SH공사

"살았다" 가슴 쓸어내린 LH, "어쩌나" 끙끙 앓는 SH공사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대표적인 주택공기업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SH공사가 부동산 시장 양극화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LH는 지역 부동산 시장 온기를 타고 미분양 물량이 지난해말 보다 43% 가까이 줄었다. 반면 SH공사는 서울 부동산 시장의 불황 여파를 고스란히 이어받고 있다.

24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7392가구였던 LH의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올 5월30일 현재 4239가구로 집계됐다. 5개월 동안 미분양 물량이 42.7%나 줄어든 것이다. 지난해 말 대비 4월말까지 전국 미분양 아파트가 18.6% 줄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LH의 미분양 판매 속도가 상당히 빠른 셈이다.


이처럼 미분양 판매에 가속도가 붙은 것은 부산 대전 대구 등 지방 부동산 시장의 활황 덕분이다. 지방 부동산 시장은 광역시를 중심으로 신규 분양 시장이 활황세를 보이면서 부동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난 상태다. 여기에 전셋값까지 오르면서 미분양 아파트가 전세난의 돌파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LH 아파트의 분양가가 민간브랜드보다 저렴하다는 게 장점으로 받아들여지면서 미분양 판매가 두드려졌다는 해석이다. 5개월 사이 지방 미분양 물량이 63.7%나 급감했다는 게 이를 뒷받침한다. 같은 기간 수도권 지역의 미분양 물량은 5.6% 감소하는데 그쳤다. LH관계자는 "지방 중 대전 충남지역과 대구 경북지역의 미분양 많이 줄었다"며 "과학벨트 선정 등의 호재가 나오면서 5개월 동안 각각 1000여 가구씩 해소됐다"고 말했다.


이밖에 본사 인력을 대거 지방으로 배치해 판매망을 강화하고 일부 악성 미분양 물량의 판매를 위해 분양조건부 전세 전환 등의 마케팅을 동원한 것도 미분양 해소에 한몫했다.


이에 반해 서울 SH공사는 울상이다. 지난해 말 761채였던 미분양 가구수가 올 5월말 현재 956채로 증가했다. 은평뉴타운의 미분양 가구는 같은 기간 761채에서 696채로 8.5% 줄었다. 하지만 올해 분양한 마천·강일2지구·신정3지구 등에서 260채가 팔리지 않아 지난해 말보다 미분양 물량이 늘어난 것이다.


미분양 해소에 속도가 붙은 LH와 달리 SH공사가 이처럼 고전하는 것은 서울 부동산 시장의 불황여파가 크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말보다 0.17% 하락했다. 같은 기간 지방 아파트 값이 4.16% 오른 것과는 대비된다. 특히 서울 부동산 시장이 지난 4월 DTI(총부채상환비율)규제 부활 후 매수세가 급격히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보금자리주택공급 계획 발표와 금리인상 등이 단행되면서 매매수요가 자취를 감췄다.


또 대형 아파트의 인기가 떨어진 점도 SH공사의 미분양 물량을 증가시킨 원인으로 작용했다. 현재 SH공사의 미분양 물량은 은평뉴타운에 전용 101㎡ 41채·134㎡ 198채· 166㎡ 457채가 있고 마천·강일2지구·신정3지구 등에 114㎡ 260채가 있다.


SH공사 관계자는 "미분양 판매를 위해 할부분양과 판매를 알선한 공인중개사에게 수수료를 떼어주는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며 "하지만 요즘 인기가 없는 중대형인데다 서울 부동산 시장이 장기 침체를 보여 판매 실적이 저조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박원갑 부동산1번지 대표는 "지방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공급부족에 따른 수급불균형 상태임에 따라 내년까지 서울과는 차별화된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며 "미분양 아파트의 투자가치도 같이 부각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도권은 상승 및 하락요인이 서로 겹쳐 혼재된 상태라 당분간 집값은 실질가격 기준으로 약보합세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며 "다만 전세난과 입주량 부족 등으로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문가들은 미분양 아파트에 대해선 철저한 옥석가리기식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상황적 요인에 의한 미분양이 아니라 미분양이 될 수밖에 없는 경우도 분명히 존재한다는 이유에서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미분양에는 나름의 이유와 약점이 있다"며 "지방 부동산 시장 분위기에 편승해 무턱대고 미분양을 구입하기 보다는 분양가, 입주율, 입지 , 주변 개발 여건 등을 꼼꼼히 따진 후 계약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