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은 근로자가 동일한 사업주 밑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퇴직하는 경우에 받을 수 있는 돈이다. 이는 노후 또는 실업 등의 경우 최소한의 생활을 가능하게 해주는 마지막 보루다.
건설 일용근로자는 자신의 직종에 따라 공정에 투입된다. 한 사업주 밑에서 1년 이상 근무하는 경우가 드물어 사실상 퇴직금을 받기 어렵다는 뜻이다. 이에 20~30년을 건설현장에서 일한 근로자라도 노후대책이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를 보완키 위해 1998년 퇴직공제제도가 구축됐다. 건설근로자들은 이 제도를 통해 여러 현장을 이동해 근무하더라도 각 현장의 근로일수를 모두 합산해 퇴직공제금을 받을 수 있다.
이 제도는 공제회를 통해 운영된다. 공제회는 제도의 도입 이후 14년간 퇴직공제제도를 운영해왔다. 공제부금도 시간의 흐름과 함께 차곡차곡 적립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공제부금은 1조5000억원에 다다르고 있다.
또 공제회는 안정적인 자산 운용을 통해 연 평균 7% 내외의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고 있다. 이처럼 부금규모가 커지다 보니 건설근로자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부금 운영 시 투명하고 책임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식이 생기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자체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인 셈이다.
공제회는 이에 대한 답을 내놓기 위해 절치부심했다. 고심 끝에 얻은 결정은 '전문성의 강화'다. 종전 공제회는 부금 규모에 비해 운용조직이 작고 전문성도 부족했다. 이를 개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에 지난해 자산운용본부를 신설했다. 본부 밑에는 자산운용팀, 투자개발팀, 리스크관리팀을 배치했다. 관련 분야의 전문인력도 대폭 충원했다. 이제는 다른 연기금 조직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맨 파워를 자랑하고 있다.
다음은 통제 시스템의 강화다. 자산운용, 투자, 리스크관리위원회 등 각종 위원회를 만들어 전체적인 자산운용 방향, 주요 투자 결정, 투자의 사전적ㆍ사후적 리스크관리 등을 소관 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결정토록 했다. 위원회의 구성원은 외부위원 중심으로 배치했다. 전문성의 보완과 함께 객관적인 결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판단에서 나온 결과다.
또 자산운용을 얼마나 잘 했는지 평가할 수 있도록 성과평가위원회를 구축했다. 여기에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받아 자산운용규정을 새로 정비했으며 투자상품도 다양화했다. 투자방법도 운용사의 성과를 반영해 투자를 의뢰토록 하는 등 선진화했다. 이러한 노력의 궁극적 목적은 소중하게 쌓여가는 건설근로자들의 자산을 잘 불려서 더 많은 수익을 근로자들의 몫으로 되돌려 주기 위해서다.
공제회는 자산규모에 걸맞은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윤리적 경영시스템을 도입하고 공제부금 운용실적과 훈련ㆍ취업지원ㆍ복지 등 주요 사업실적을 홈페이지에 정기적으로 공시하고 있다.
지난 17일 건설의 날 기념식에서 건설근로자공제회는 이처럼 건설근로자의 복지증진과 건설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단체표창을 받았다. 이날 받은 표창은 지금까지 공제회가 추진한 변화에 대한 정부 차원의 치하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하게 평가받은 것은 공제회가 건설근로자들의 진정한 동반자로 거듭나고 있다는 점이라고 판단된다. 이어 앞으로 공제회를 더욱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운영하라는 국민적인 요구라고 생각된다. 이 같은 국민적인 요구와 함께 건설근로자들의 희망으로 거듭날 때까지 공제회의 노력은 계속 진행형이다.
강팔문 건설근로자공제회 이사장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