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기의 악순환] 건설업계 살생부가 기다린다..20위권도 불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경영지원' 분위기에 변화 채권단 잣대 까다로워져

[아시아경제 조철현 기자] 건설업계가 떨고 있다. 금융권의 기업 구조조정 대상 업체 발표를 앞두고 초긴장 모드에 들어갔다. 채권은행들이 신용위험평가에서 많은 수의 건설업체들에게 구조조정 판정을 내릴 것이란 전망이 벌써부터 힘을 받고 있다. 시공능력평가순위 20위권 건설사도 안전하지만은 않다는 얘기까지 나돌고 있는 상황이다.


13일 금융권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신용위험평가 대상 기업은 금융권 신용공여(대출+보증)액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 700여 곳이다. 채권은행들은 이미 신용위험평가를 끝내고 6월 중에 구조조정 대상을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평가에서 C등급을 받은 기업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 추진되고, D등급 기업은 회생절차(옛 법정관리)를 밟거나 퇴출된다. 지난해에는 건설업체 16곳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 전체 업종의 대상기업 65곳 가운데 24.6%를 차지했다.


채권은행들은 '경영 지원'에 무게를 둔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엄정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용평가의 신뢰성이 논란에 휩싸인 데다 정부도 강한 구조조정을 압박하는 등 분위기가 예년과는 확연히 달라졌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과거 신용평가에서 A, B등급 판정을 받았던 건설업체가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로 간 경우도 적지 않았다"며 "이번 평가에서 어떤 건설업체가 C, D등급을 받게 될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와 금융권에선 최근 건설경기 침체가 심각한 상황이어서 지난해 B등급을 받아 구조조정을 면한 업체라도 올해 등급이 떨어지는 곳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중견건설업체 K사 관계자는 "현대건설 등 몇몇 대형업체를 제외하면 요즘 어렵지 않은 건설사가 없다"며 "실적 부진이 두드러진 10개 안팎의 중소·중견 건설사가 구조조정 대상 리스트에 이름을 올릴 것이란 소문이 돌고 있다"고 말했다.


대기업 계열 건설사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채권은행들이 대기업 계열사란 이유로 신용평가 때 가점을 줬지만 이번 평가에선 오히려 정조준 대상이 됐다는 판단에서다. 한솔건설·진흥기업·LIG건설 등 잇따른 대기업 계열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및 워크아웃이 영향을 끼쳤다. 이른바 모기업의 '꼬리 자르기'가 가능한 대기업 계열사에 대해서는 더 이상 '이익'을 줄 수 없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회사채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BBB급 이하이면 자칫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BBB급과 BBB-급인 대기업 계열 건설사로는 K건설, D건설, 또다른 K건설, C건설 등이 있다.


하지만 문제가 있는 기업들은 이미 대부분 구조조정 절차를 밟고 있는 만큼 올해 새로 선정될 업체 수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김찬호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많아질수록 은행의 충당금 부담도 커진다"며 "채권 은행들이 시장 충격파 등을 고려해 구조조정 대상 업체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100위권 기업 가운데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신청한 건설사는 모두 28개사에 이른다. 지난해까지 세 차례에 걸쳐 건설사 구조조정이 단행됐지만 최근에는 자금난을 견디지 못해 건설사 스스로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업계에서는 건설업체의 퇴출이 계속될 경우 주택 공급시장의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송재 대한주택건설협회 본부장은 "주택 전문 중견업체들이 추가로 쓰러지면 앞으로 주택 공급이 크게 줄 수밖에 없다"며 "구조조정에 앞서 현금 흐름 방식 개선 등 시스템 개선이 먼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보다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변창흠 세종대 교수는 "이번에도 구조조정의 칼날이 무뎌진다면 건설업계의 경쟁력 회복은 요원한 일이 될 것"이라며 "건설업계도 주택 위주에서 사업 영역을 다변화하는 등 생존을 위한 체질 개선에 본격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철현 기자 choc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